적정가격에 대한 정의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치과의사로써 임플란트, 교정 등 비보험 치료의 가격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적정가격에 대한 정의와 개념 등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원가+이익 방식이다. 인건비, 임대료, 인테리어와 장비의 감가상각비, 재료비 등 지출 원가에 적정 이익을 붙이는 방식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병원 설립 시 투자비에 대한 이자를 기회비용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돈으로 다른데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한 기회비용으로 봐야하기 때문이다. 이외 적정가격에 대한 다른 유용한 개념들도 있다. 1900년 초에 활동하던 저명한 치과의사인 Dr. Pankey는 적정가격으로 2가지 요인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첫째는 환자가 감사하며 기꺼이 지불하는 가격이고 둘째는 양질의 진료를 해줄 수 있는 가격이다. 2가지 요인이 충족될 때 적정가격인 것이다. 경제학적 논리에 따르면 적정가격이란 고객 10명 중 2명이 비싸다고 느끼고 떠나가는 가격이라고 한다. 만약 10명중에 1명만이 비싸다고 떠나면 가격 인상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명이 비싸다고 떠나면 가격 인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
“밤 – 빠, 밤 – 빠, 밤빠 밤빠 밤 -” 일요일 아침, 경쾌한 하이든의 트럼펫 협주곡 멜로디를 신호로, TV 앞에 온 가족이 둘러앉는다. 전천후 원조스타 임택근, “화랑의 아들, 유관순의 딸!”을 부르짖던 스포츠중계의 이광재,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박종세. 그 계보를 이어받아 TV시대에 때맞춰 등장한 차인태 아나운서는, 참신한 마스크에 지적인 재치로, ‘장학퀴즈’를 최장수 프로로 만든 대들보였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니(Even Homer Nods), 차인태의 ‘옥에 티’ 하나를 소개한다. 침 속에 있는 전분 분해효소를 묻는 질문에 학생의 답이 막히자, 설명하는 대목에서 그만 ‘므티알린’ 해버렸다. 원고에는 프티알린(Ptyalin)인데, 순간 피읖(ㅍ)을 미음(ㅁ)으로 잘못 읽은 것. 이 실수가 어찌 치과의사의 귀를 피해 가랴? 이과(理科)가 아닌 연세대 성악과 출신이니, 한 번 웃고 애교(?)로 넘어갔다. 아시다시피 미국에서는 P를 묵음 화하여 ‘타이얼린’이다. 차인태보다 나이는 작아도 데뷔가 약간 빠른 이상벽은, 당시로는 좀 생뚱맞은 팝송 해설가로 떴다. 어느 분야나 개척자의 길은 항상 험난한 법이지만, 동갑내기 송창식 윤형주 등 쎄
6,000원짜리 맥주와 4,000원짜리 저가 맥주 2종류를 내 놓으면 80%는 6,000원짜리 맥주를 선택한다. 여기에 2,000원짜리 초저가 맥주를 추가하여 3가지를 내놓으면 80%는 4,000원짜리 맥주를 선택하고, 나머지 20%는 6,000원짜리 맥주를 선택한다고 한다. 2,000원짜리 대신 8,000원짜리 수퍼 프리미엄 맥주를 내놓으면 대부분이 6,000원짜리 맥주를 선택하고, 10%는 8,000원짜리를 선택한다고 한다. 사람들은 당장 비교되는 것들만 보고 결정을 내린다. 항상 고가만을 찾는 사람, 항상 저가만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는 중간급을 품질과 가격의 적당한 균형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영업방법으로, 팔려고 하는 주력상품 옆에 저가와 고가의 상품을 함께 배치해 놓는다. 사람들은 한가지 가격이면 경쟁 상품들과 품질, 가격 등을 비교하고, 2~3가지 가격이면 그것들 중에서 비교하여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3가지 전략) 이런 의미에서 임플란트 가격을 한가지만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외부 다른 치과들의 더 저렴한 가격들과 비교하기 때문이다. 임플란트 가격을 품질에 따라 3가지를 제시하라. ‘일반 임플란트, 프리미엄 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세상’은 세 글자로 ‘신천지’요, 중국에 문을 열어 우한코로나 세계 2위로 우뚝 선 쾌거는, ‘감염주도 방역정책’이란다. 시진핑의 꾸중 한 번 안 듣고, 한·중 외교적 마찰을 무사히 피해갔으며, 역으로 중국이 한국인 입국을 억제하는 것은 사소한 부작용에 불과하다. 중국 위생상태가 열악하고 방역 체계가 허술하여, 변방 소국으로부터 바이러스의 역수입을 차단했을 뿐이다. 요즘 인터넷에 떠도는 따끈한 유머들이다. 대선공약을 지켜 새 세상을 보여주고 중국과 외교를 돈독히 했으며, “당신의 고통이 우리의 고통”임을 온 국민을 바쳐 증명하였다. 문제는 한국인을 막는 국가 숫자가 백에 육박한다는 점이다(3월 5일 현재*). 어르신 중국은 빼고, 우방인 미국에 형제 같다는 터키 몽골까지다. 수출로 먹고사는 세계10대 무역국에게, 방문판매와 해외공장 관리를 포기하라니. 한국인 입국억제를 비난할 수만은 없다. 폭풍한설 몰아치는 한겨울에, 내 새끼 잠든 방 창문을 활짝 열어놓는 못난 부모가 어디에 또 있을까? 모진 계모도 새끼들 입고 덮을 내복과 이불은 내다 팔지 않는다. 마스크나 방호복쯤이라면 몰라도... 계속 변신하는(mutation) 바이러스의 기습
우한 폐렴이 폭발적으로 번지면서, 정부의 미숙한 초동대응에 비난이 쏟아졌다. 특히 2월 23일까지 최고위 책임자였던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이 몰매를 맞았다. 처음부터 중국인입국을 막지 않은 이유를 묻자, 가장 큰 원인이 “중국에서 돌아온 한국인들”이라는 발언과, 문열어놓고 모기 잡느냐는 추궁에 “지금은 겨울이라 모기가 없다”는 무책임한 답변으로, 멍든 국민의 가슴에 염장을 질렀다. 박장관은 상당히 신중한 이 정부 최장수 장관으로서, 동정의 여지는 있다. 첫째 군주국가 내시에 비유되는 청와대 비서관이 날고 긴다면, 장관은 사실상 하부조직의 기관장급 정도다. 외국에서 간경화 환자인지 통역사인지 제 대접을 못 받는 외무부는 물론, 원전(原電)문제로 아랍토후국과 마찰이 있을 때는 상선(尙膳) 임종석이 날아갔으며, 개헌 등 주요 정책발표는 총리나 주무장관을 제쳐놓고 조국 정무수석이 도맡았다. 둘째, 정치계와 관료가 의료업을 물로 보고 보건과 복지를 한데 묶어 보복(保福: 報復)부가 되었다지만, 박장관은 보건 의료가 아닌 복지 전공이다. 의료정책의 많은 부분을 의료계에 맡기고 비교적 소통이 원활했던 박장관이, 의사협회의 중국인 입국금지 권고를 묵살한 것은, 본인의 소신
콩밭 매는 아낙네야 배적삼이 흠뻑 젖는다./ 무슨 설음 그리 많아 포기마다 눈물 심누나./ 홀어머니 두고 시집가던 날 칠갑산 산마루에/ 울어주던 산새소리만 어린 가슴 속을 태웠소./ 짧은 노랫말이지만 한자어나 들온말(外來語)은 단 하나도 없고, 모두가 순수한 ‘겨레말’이다. 있다면 단 하나, 제목이기도 한 ‘칠갑산’인데, 사람이든 땅이든 작품 속의 홀이름씨(固有名詞)는, 낯선 이에게 호기심과 동경을, 익은 사람에게는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그 한마디로 스토리텔링이 시작되는 것이다. 새마을 이전에 들어온 4H 운동(Head Heart Hands Health: 知德勞體 1902 미국)은, 비료의 중요성을 알리는 “중가리 가리 가리, 중가리 가리.”라는 노래를 가르쳤다. “마음은 콩밭에 가 있다.”는 속담도 있지만, 비료의 3요소 질소 인산 카리 중에 유기체에 필수적인 질소성분은, 자연 상태에서 오로지 콩과식물만 합성이 가능하다(뿌리 혹 박테리아). 그래서 예로부터 논두렁에다가 콩은 심어도 콩밭은 드물었다. 따라서 ‘콩밭’이라하면 삼림을 불태워 비옥해진 땅에 한 해 농사만 짓고 떠나는 화전민(火田民)이 떠오른다. 낯 설은 산 이름에 유랑하는 화전민 아낙네로,
수련의시절 신상문제로 이름을 바꿔야한다며 어머님이 올라오셔서, 당시 이름난 내자동 김봉수 작명소를 찾았다. 예약을 했어도 두 시간을 기다려 사주를 넣으니 즉석에서 처방(?)을 내린다. 뚫을 철(徹)을 상서 상(祥)으로 바꾸라는 것이다. 무슨 상중(喪中)도 아니고 난색을 표했더니, 가족 간에 가끔 불러만 주면 된단다. 한국식 이름 석 자에서 성 떼고 돌림자 떼면 달랑 한 글자 남는데, 그걸 바꿔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하기야 믿음의 문제이니 누가 감 놔라 대추 놔라 하겠는가? 얼마 전 막내 손녀 이름을 지으러 청전 선생을 찾았다. 솔깃한 덕담 끝에 안식구가 지불한 복채는, 3대째 단골(?)이라서 20만원만 받는단다. 여자이름에 단 한 글자이니 해답은 예상 그대로였지만, 그래도 적이 편안하고 마음이 놓인다. 목포 자살골로 탈당한 무소속 손혜원 의원이 서운한 속내를 비쳤다. 당을 위해 이름과 슬로건을 지어준 공으로 보아, 당은 “나에게 빚진 게 많다.”며, 불만을 토로한다. 음주측정도 아니고, ‘더 불어’가 좋은 이름인지는 모르겠으나, 결과적으로 정권을 잡았으니 큰소리 칠만도 하다. 내 욕심 같아서야 백만 원도 눈에 안 차겠지만, 명색이 단골이요 소속 당 할인
환갑잔치가 쑥스러워 대신 오붓한 부부만의 여행을 계획했는데, 말이 나자 삽시간에 친구 30여 명이 모였다. 최소한 보름 이상으로 잡고, 나이가 더 들면 비행기 30여 시간에 고산지대 여행은 무리라고 하니, 장소를 중남미로 잡았다. 당연히 머릿속에서는 마추픽추와 이구아수폭포와 아르헨티나 탱고가 춤을 추고 있었다(2003). 갑자기 아르헨티나에서, 우습게 알던 사스의 ‘미 감염 증명서’를 요구해 당황했는데, 고맙게도 S 병원이 선뜻 서류를 발부해주었다 (Sars; 국내 발병자 3, 사망 0). 당시 “원주민을 내쫓고 세운 세계경제 7위의 백인 천국이, 나치 잔당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 포퓰리즘으로 나라를 말아먹더니, 꼴값 떨고 있네.”라고 생각했는데, 신종 플루·메르스·우한(武漢)의 우환을 겪으면서 이제는 충분히 이해한다. ‘기생충’의 아카데미 4관왕을 축하한다. 그러나 필자는 본 칼럼에서 “마치 두개의 영화를 억지로 붙여놓은 것처럼 몰입의 깨어짐”을 말한 바 있다. 마음에 드는 영화는 두 번 이상 보는데, 이 영화는 전·후반 일관성을 못 찾아 포기했다. 관객을 잡으려고 60년 전 2류 만화 마블의 소재를 재탕하고, 한편으로 스트리밍 전문인 Netflix의 명장면
역성(易姓)혁명에 성공한 이성계는 즉위 후에도, 도읍까지 정해준 무학 대사와 예사로 농담을 주고받았다. “내 눈에 대사는 살찐 돼지로 보이오.” 묵묵부답... “대사 눈에 짐은 어떠하오?” 대사가 입을 연다. “폐하는 부처님 같습니다.” “아니, 짐의 말은 농이었거니와, 부처님이라니?” “본시 부처님 눈에는 모두가 부처님으로 보이는 법이지요.” 말투는 극히 공손하지만, 결국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는 말이다. 미국은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태평양전쟁에 끌려 들어갔고, 일본계 시민을 ‘격리수용’까지 했다. 해리스 주한 미 대사의 모친은 일본계지만, 그는 아나폴리스를 나온 정통 해군장교로서, 하버드·옥스퍼드·조지타운 대에서 행정학·국제정치학·안보학을 공부한 엘리트 중에 엘리트다. 별 네 개를 달고 태평양함대 사령관을 역임한 뒤, 전역하면서 콧수염을 기른 것으로 안다. 비행장교로 시작하여 태평양을 안방처럼 누빈 그에게, 문대통령 신년사가 정상으로 들렸을까? 핵과 미사일 공갈을 일삼는 북한 제제를 풀어 경제협력을 추진, 개성공단 재가동, 남북한 철도와 고속도로 건설, 금강산관광 재개, 외국인 여행지원을 시작하겠다는 정부 발표에, 동맹국대사로서 한마디 하지 않을
각설이타령에서 잃어버린 한 구절. “오하요 곰방와 사라지자, 할로 오케이가 웬 말이냐/ 게다짝 소리에 골치를 앓더니, 껌 씹는 소리만 짝짝짝.” 일제강점기에 이어 미군정, 다시 미군의 참전과 원조로 김일성 남침을 견디어낸 민초의 애환이 물씬하다.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다.”가‘기즈가 났다.’로 ‘스크래치(scratch) 갔다.’ 로 격상된(?) 것도, 들온 말(외래어) 침략의 역사다. “상처를 입었다.”는 말 자체가 낯 선 수동(受動)태로 일제 잔재이니, 적폐청산 차원에서 없애자는 돌 아이도 있으나, 일본 수동태는 겸양의 의미가 크고(내 본심이 아니라는 뜻), 영어의 수동형은 과학적이다. “그는 서울에서 태어났다.”와 “He was born in Seoul.”을 비교해보면,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외친 부처님도, “내 스스로 태어났다.”고 우기실 수는 없을 터이다. 태어남은 의미상 자동사 아닌 타동사니까. 일본어 – 라시이나 – 요우다의 잔재라는‘같아요’ 또는 -적(的)이라는 말은 절제해야 하지만, 어느 야구 해설위원처럼 “생각되어진다.” 정도만 아니라면, 수동태는 오히려 우리말의 성장과 과학화에 기여 할 것이다. 엘리트 레전드 패러다임처럼 잘못 옮기면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