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치과의사회(회장 김기원)가 지난 8일 'BDEX 2025' 1차 조직위원회를 개최했다. 내년 3월 8~9일로 일정이 잡힌 만큼 대회를 5개월 여 앞두고 첫 조직위를 가진 셈. 이날 회의는 국립치의학연구원 부산 유치의 염원을 담아 'Busan is Good, Global BDEX'를 대회 공식 슬로건으로 확정했다. 내년에는 특히 치협이 주최하는 '협회 100주년 기념 종합학술대회 및 치과기자재 전시회' 때문에 YESDEX가 열리지 않으므로, BDEX 2025는 내년 부산지역의 유일한 국제학술대회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역 개원가와 영남권 치과기자재 업체들의 관심도 덩달아 높아져 벌써부터 관련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와 관련 BDEX 2025 조직위원회는 "이전 대회보다 많은 치과인들의 참여가 예상됨에 따라 국내외 유명 연자를 섭외 등의 임상 강연 이외에도 문화강연과 이벤트 등 참가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알렸다. 조수현 조직위원장은 "BDEX는 벚꽃과 함께 시작되는 국내 첫 치의학 학술대회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하고, "아쉽게도 내년에는 일정이 조금 앞당겨져 벚꽃보다 조금 먼저 찾아뵐 것 같지만, 벚꽃보다
오스템임플란트가 운영하는 치과종합포털 덴올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요세미나'가 2024년 마지막 강연을 대한턱관절교합학회(회장 김성택)와 함께 한다. 11월 6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7회차로 구성될 이번 수요세미나는 ‘Bridging the gap between TMD and Clinical Occlusion’를 대주제로 임상 교합과 관련한 내용을 시청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알기쉽게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 1회차에 2강연씩, 총14개의 연제들도 하나같이 흥미롭다. 우선 11월엔 ▲'실용적 디지털 총의치를 위한 키워드'(전남대 박찬 교수),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교합 채득 노하우'(조선대 송주현 교수), ▲'부정교합의 분류와 보철 치료'(경북대 김소연 교수), ▲'임플란트를 활용한 하악 무치악 교합만들기'(원광대 이선기 교수), ▲'전치부 보철치료시 기능교합적 고려사항'(전북대 서재민 교수), ▲'임플란트 교합 기본기 다지기'(단국대 송영균 교수), ▲'잘 안 씹혀요.. 무엇이 문제일까?'(경희대 홍성진 교수), ▲'교합고경 증가를 통한 기능, 심미적 완성도 높이기'(연세대 김재영 교수)가 참가자들을 만난다. 이어 12월엔 ▲'성공적인 총의
서울대치과병원(병원장 이용무)이 지난 24일 양평군노인복지관을 찾아 ‘독거노인을 위한 찾아가는 치과서비스’를 진행했다. 이번 봉사활동엔 단장인 조정환 교수(구강내과)와 전공의,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교직원 등 19명이 참여했는데, 봉사단은 이날 이동진료버스와 각종 치과 진료장비를 구비, 총 42명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충치 치료, 발치, 스케일링, 틀니 수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서울대치과병원은 틀니, 임플란트 수술 등 심화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향후 병원으로 초청해 무료 진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조정환 봉사단장은 “고령화 시대에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해 구강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혼자 사는 어르신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역사회 어르신들에게 치과진료를 제공할 계획"이라 전했다. 서울대치과병원은 지난 2017부터 미래에셋생명,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 함께 매년 200여 명의 독거노인들에게 치과진료를 제공해왔다. 독거노인을 위한 찾아가는 치과서비스는 연말까지 총 5회로 예정돼 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병원장 이용무)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오는 11월 3일 치과병원 8층 한화홀에서 열린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40분까지 진행될 이번 학술대회에선 주요 임상 과목을 중심으로 소아치과 장기택 교수의 '맹출장애, 매복치 관리' 등 모두 11개의 연제가 참가자들을 맞을 예정이다. 사전등록은 오는 29일까지이며, 등록비는 동창회 회원 4만원, 일반 8만원이다. 치협 보수교육 점수는 4점.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연제와 연자 ▲'맹출장애, 매복치 관리'(소아치과 장기택 교수)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Clear Aligner Therapy'(치과교정과 백승학 교수) ▲'임플란트 관련 상악동 합병증의 예방과 처치'(구강악안면외과 한정준 교수) ▲'임플란트주위염 개선을 위한 합리적 방안'(치주과 구기태 교수) ▲'Will Bioceramic Cements be the Promising Root Canal Filling Materials?'(치과보존과 금기연 교수) ▲'골반응 향상을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 조절법 고찰'(치과보철과 여인성 교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김진우) 제5회 민감성 치아의 날 기념식이 11월 1일 오후 6시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 다 페스타 2F 페스타홀에서 열린다. '민감성 치아'(Hypersensitive tooth)는 보통 '시린이'라고 하는 흔한 증상으로, 증상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이를 질환으로 여기지 않고 방치했다간 나중에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때 치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치과보존학회는 국민들에게 이같은 인식을 심어 국민구강보건 발전에 이바지코자 11월 2일을 '민감성 치아의 날'로 정하고 매년 기념식을 가져왔다.
대한여성치과의사회가 주최하고 (주)신흥이 후원하는 2024 대한여성치과의사회 학술대회가 오는 11월 24일(일)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1층 마리아홀에서 개최된다. 현재 DVmall(www.dvmall.co.kr)을 통해 사전등록 접수 중이며, 마감은 11월 20일(수)이다. DVmall 사전등록을 위한 혜택도 있다. 멤버십 회원에겐 DV Point 20,000P를, 일반 회원에겐 10,000P를 추가로 적립해준다. 이번 2024 대한여성치과의사회 학술대회는 성별에 상관없이 치과의사 모두가 등록할 수 있으며, 치협 보수교육 점수는 필수보수교육 1점을 포함해 4점을 받을 수 있다. DVmall은 여성치과의사회 외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학술대회도 사전등록을 진행중이다. 학술대회 사전 등록 관련 문의는 DVmall(http://dvmall.co.kr) 사이트 내 문의게시판 혹은 DVmall카카오톡 채널로 하면 된다.
내년 2월 15~16일 이틀간 코엑스 4층 컨퍼런스룸에서 열릴 DV Conference의 성공을 위한 'Opening Meeting'이 지난 14일 개최됐다. 이미 치과계 유수의 학술행사로 자리잡은 DV Conference는 개원가에 즉시 도움이 될 임상 노하우를 제시하는 학술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다. 내년 19회째 컨퍼런스를 준비할 7인 학술위원회도 구성됐다. 정현성 위원장(서울퍼스트치과)과 이승준(서울하이안치과) · 이창훈(인터서울치과) · 곽영준(연세자연치과) · 설현우(가야치과병원) · 김정주(마이스터치과) · 정유진(연세휴치과보존과치과) 위원이 그들. 이날 Opening Meeting에서 학술위원들은 'DV 컨퍼런스가 학문적 깊이뿐 아니라 개원가의 현실도 고려해 장기적으론 개원가의 발전을 넘어 치과계 전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하는 한편 2025 DV Conference 대주제 선정과 운영 세부계획에 관해 심도있는 논의를 펼쳤다. 신흥 관계자는 “DV Conference를 매번 성공적으로 이끌어 온 정현성 학술위원장과 풍부한 임상 경험의 조직위원들이 이번 DV Conference를 더욱 깊이있는 학술대회로 만들어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곽재영) 제92회 학술대회가 오는 11월 16~17일 대구 엑스코 서관 그랜드볼룸에서 '디지털 시대의 치과보철학 - 가철성 보철의 기본과 디지털의 시너지'를 주제로 열린다. 임상에서 핵심이 되는 총의치 및 가철성 국소의치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응용까지를 다룰 이번 학술대회는 참가자들에게 보철에서의 실질적인 임상 전략을 제공하게 될 전망이다. 이청희 학술대회장(경북대 교수)은 학술 이외에도 10년만에 대구에서 열리게 된 학술축전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이번 기회에 화려한 대구 83타워와 아름다운 고딕양식의 계산성당, 국체보상운동 기념공원, 달성공원 등 역사문화적 의미가 담겨 있는 대구의 명소들을 함께 음미할 수 있길 바란다'고 권했다. 학술대회는 사전 온라인 강의 4제와 오프라인 강연 14제, 해외연자 특강 2제 그리고 패널 디스커션 2제로 구성된다. 11월 10일부터 24일까지 2주간 보철학회 온라인 교육원(edu.kap.or.kr)에서 볼 수 있는 사전 VOD 강의는 ▲국소의치 임상술식: '소수 잔존치 증례의 다양한 치료 방법'(강릉원주대 조리라 교수), ▲총의치 임상술식: '총의치, 유의할 기본 술식'(강릉원주대 박찬진 교수), ▲혁신
창립 64주년을 맞은 부광약품이 지난 17일 포상식과 함께 타운홀 미팅을 가졌다. 이날 포상식에선 장기근속 포상 이외 창립 이래 처음으로 ▲BK Award(모범사원상), ▲Value Creation Award(가치창출상), ▲Outstanding Contribution Award(특별기여상), ▲SH&E Award(안전·건강·환경상) 등 사내 포상이 진행됐다. 포상식에 이어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이제영 대표이사는 임직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활발한 소통의 장을 마련했는데, 이 자리에선 4개 본부 팀장들이 나와 '부광약품의 미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발표하기도 했다. 앞서 이제영 대표는 기념사에서 "회사의 재도약을 위해선 직원간 원활한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날 '끌어당김의 법칙'을 예로 들어 "2023년의 적자는 부광약품 역사상 마지막 적자가 될 것"이라면서 '임직원들의 협심 노력'을 당부하기도 했다.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김진우)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가 오는 26~27일 SETEC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대회 강연은 26일(토) 11시 40분 ▲조신영 원장(연세굿데이치과)의 '보존과에서 바라보는 임플란트'를 시작으로 ▲송경우 교수(연세대 응용통계학과)의 'LLM Agent 개념과 b활용방안', ▲최호식 교수(서울시립대 인공지능학과)의 'Privacy preserving machine learning for biological signals', ▲Reuben Kim 교수(UCLA School of Dentistry)의 'Keys to success in adhesive dentistry: Mastering the concepts and techniques in bonding protocols'로 이어진다. 대회 둘째날인 27일(일)은 아침 9시 30분 인정의필수보수교육으로 시작한다. ▲손성애 교수(부산대)의 'Cracked tooth의 치수 진단을 QLF 장비로 할 수 있을까?'와 ▲김신영 교수(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의 '치은연하로 진행된 cracked tooth의 생존율 분석 및 해결방법'이 그것. 이어 ▲최상윤 원장(최상윤치과)의 '보존과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