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보험학회(회장박덕영)가 오는 12월 14일부터 20일까지 일주일간 온라인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온라인 플랫폼 클라썸(www.classum.com)에서 열릴 이번 대회의 대주제는 '포스트코로나시대, 치과건강보험의 변화와 미래'로 ▲코로나 시대 한국과 미국의 의료보험변화, ▲의료윤리, ▲건강보험청구 연수강좌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번째 세션에선 '코로나시대 미국의료보험회사의 원격의료현황'을 제목으로 Ian Choi(united health group, lead physician)가 온라인 라이브 강연을 펼친다. 또 심평원 이진용 연구소장이 '코로나 시대 건강보험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이어 연세치대 김준혁 강사가 '치료제를 둘러싼 갈등에 관한 의료정의론적 접근'이란 제목으로 의료윤리 파트 강연에 나설 예정이다. 세번째 세션인 건강보험청구 연수강좌에선 최희수 원장(부천 21세기치과)이 'After corona 시대의 치과건강보험진료', 김영삼 원장(레옹치과)이 '최신 보험진료의 보험청구', 조미도 교육부장(구미 미르치과병원)이 '코로나시대 HORO 같은 보험청구'를 제목으로 각각 강연에 나선다. 이번 학술대회 사전등록은 12월 4일까지 치
애리조나치과대학 교정과장인 박재현 교수<사진>가 지난 6일 Virtual로 열린 Edward H. Angle Northern California Orthodontic Society (NCASO) 정기총회에서 직전 회장인 Ronald Champion 박사의 뒤를 이어 NCASO 회장에 당선됐다. 치과교정학의 아버지인 Angle 박사 서거 이후 1930년에 SCI 저널인 'The Angle Orthodontis'가 창간됐고, 이어 Angle Society가 설립됐는데, Angle Society는 현재 북미에 7개의 components (Angle East, Angle Midwest, Angle North Atlantic, Angle Northern California, Angle Northwest, Angle Southern California, and Angle Southwest)가 있다. 이들 Components들은 매 2년마다 Angle 정신을 기릴 목적으로 보수교육과 친목도모 등 5일간의 학회를 진행하는데, 현재 Angle Society member의 13% 정도가 해외(미국 밖) 회원이다. Angle Society의 Central Body D
사단법인 바른이봉사회(회장 김경호) 소속 이두희 원장(이즈치과)과 임중기 원장(연치과)이 '열성적이고 꾸준한 봉사활동'으로 최근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두 수상자는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거의 매년 청소년치아교정 지원사업에 참여해온 공로를 인정받은 것. 이두희 원장은 "생각지도 못한 과분한 상을 받게 돼 기쁘다"며, "주위의 모든 분들이 격려해 주시고, 도와주신 덕분"이라고 겸손해했다. 그는 '비록 작은 것이라도 주위 사람들과 함께 나눌 때 진정한 기쁨과 행복이 오는 것 같다'는 소감도 잊지 않았다. 임중기 원장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드러나지 않게 봉사에 임하는 분들에겐 부끄럽지만, 교정과 의사로서 교정학회를 통해 사회적 봉사에 나서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더 많은 회원들이 이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들이 소속된 대한치과교정학회 바른이봉사회는 2009년 7월 224명의 회원이 100만원씩을 출연해 진흥원으로 창립했다. 이후 2012년 3월 사단법인 바른이봉사회로 정식 출범하면서 회원수도 332명으로 늘어났다. 미션은 '치과교정학 발전을 위한 지원과 사회봉사활동을 통해 치과교정의사와 인류의 행복, 소통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이광원) 2020년도 온라인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5~8일, 62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치뤄졌다. 이미 지난 춘계학술대회를 온라인으로 치른 경험이 있는 보존학회는 스튜디오에서 강연을 사전 녹화해 전달력을 높이는 한편 좌장의 멘트와 연자의 답변을 실시간으로 내보내는 방법으로 현장감을 살려 호평을 받았다. 포스터 발표 역시 학술대회 전날인 5일부터 등록자들이 접속해 여유있게 작품들을 둘러보고 질문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포스터 발표의 한계를 극복했다. 5~6일 진행된 온라인 포스터 발표대회에선 수복분야에서 이혜수(서울대) · 고유라(보훈병원) 선생이, 근관치료분야에선 최민지(전북대) · 오한슬(연세대) · 성새미(연세대) 선생이 우수상을 수상했다. 또 전국 치대 · 치전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 임상경연대회(후원 BISCO)에선 박재형(경북대) · 오가영(연세대) · 김혜령(부산대) 학생이 근관치료 분야에서, 유서환(경북대) · 조정민(연세대) · 김종원(조선대) 학생이 수복분야에서 각각 1, 2, 3등을 차지했다. 2020 신인학술상은 정문희 선생(서울대)이 수상했다. 본격 강연은 7일 ▲'근관내 첩약에 대한 pos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이광원)가 11월 2일을 ‘민감성 치아의 날’로 정하고 지난 6일 선포식을 가졌다. 보존학회는 더플라자호텔에서 가진 선포식에서 '민감성 치아의 날은 이가 시린 증상에 대한 올바른 진단과 관리를 독려하는 동시에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림으로써 국민들의 구강건강을 지키는 데 일조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밝혔다. 보존학회는 앞으로 민감성 치아에 대한 건강강좌는 물론 민감성 치아의 인지도를 높이고 예방관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해 나갈 방침이다. 이광원 회장은 "민감성 치아는 구강질환을 알리는 첫번째 적신호임에도 많은 경우 단순한 통증으로 치부되거나 방치되고 있다"면서 "이번 민감성 치아의 날 제정을 계기로 국민들에게 민감성 치아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는 점을 적극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평소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양치법이나 치약사용 방법 등에 대해서도 적극 알려 나가겠다는 것'이 그의 구상. ‘민감성 치아’는 주로 치아가 시큰거리거나 시린 증상으로 나타나며, 실제 성인의 3분의 2 이상이 치아의 민감한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ITI 국제임플란트학회 한국지부(회장 이성복)가 COVID-19 팬더믹으로 대면 학술행사가 대부분 취소된 상황에서 한국지부 회원들을 위해 깜짝 이벤트를 준비했다. 감염방지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마스크 착용인 만큼 한국지부가 나서 ITI 로고가 인쇄된 마스크를 제작해 회원들에게 나눠 주기로 한 것. 이성복 회장은 이와 관련 “COVID-19 팬더믹 상황에서도 환자 진료를 위해 일선에서 초심을 잃지 않고 노력하고 있는 ITI 한국지부 스터디클럽(현재 17개) 모든 회원들(현재 285명)에게 고마움의 마음을 담아 감염방지를 위한 ITI 마스크(사진2)를 제작해 나누게 되었고, 팰로우(현재 33명)에게는 수술용 모자(사진3)도 추가적으로 선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ITI 한국지부엔 17개의 스터디클럽에 회원 285명이 활동 중이며, 팰로우도 33명에 달한다. 한편 스위스 바젤에 본부를 두고 있는 ITI 국제임플란트학회는 '올해 싱가포르에서 가질 예정이던 2020 ITI World Symposium을 내년 9월 Full Online 학술대회로 개최키로 했다'고 지난달 14일 열린 온라인 ITI Annual Genral Meeting 2020을 통해 발표했다.
대한치과보철학회 (회장 권긍록)가 제84회 학술대회를 오는 29일(일)부터 12월 8일(화)까지 열흘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Preparation for the next decade of Prosthodontics'을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는 ▲기본적인 보철치료에서 지켜야 할 기본정석에서부터 ▲보철적 관점에서의 임플란트 수술분야 그리고 ▲Digital dentistry의 보철적 응용에 이르기까지 보철의 기본부터 첨단 술식에 이르는 다양한 강연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기대를 모은 해외초청 강연은 리투아니아 Vilnius대학의 Tomas Linkevicius 교수와 일본의 Sugioka Nobuyoshi 박사가 맡는다. 이번 대회에서 Tomas Linkevicius 교수는 'Prosthetic aspects, important to achieve crestal bone stability around implants'를 제목으로, zero bone loss concept을 연구하면서 터득한 임플란트 주위 치조정 부위의 안정성을 얻기 위한 수술과 보철적 요인에 대해 강연한다. 또 Dr. Sugioka Nobuyoshi는 'Digital transformati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식사나 대화 중에 턱의 통증을 느껴서 불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정작 어디가 문제인지 모르고 있다가 증상이 악화된 다음에 치과에 내원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턱관절은 아래턱뼈, 머리뼈, 그사이의 턱관절 관절원판(디스크), 인대, 주위 근육 등을 통틀어 일컫는데, 여기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턱관절장애'라고 한다. 턱관절 장애는 일상 중 다양한 불편을 초래해 예방과 치료가 필수적인데, 2019년에 발표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한 해 턱관절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39만8천여명으로, 5년 새 27%가 늘어났다. 턱관절장애의 주요 증상은 씹고, 말하고, 침을 삼키고, 하품을 하는 일상적 행위가 불편해지거나 통증이 생기는 것으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기분장애, 수면장애, 영구적인 안면 비대칭이 발생할 수도 있다. 턱관절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식사, 하품, 노래부르기 등으로 오래 입을 벌리고 있거나, 턱을 과도하게 사용했을 때 주로 생긴다. 아래 치아와 위 치아의 부정교합, 골격이상, 나쁜 습관(이를 악무는 습관, 이갈이, 입술?손톱?연필 물어뜯기, 자세불량)이나 스트레스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안종모)가 지난 17~24일 진행한 온라인(웹사이트 '키메디') 2020 추계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다수의 비회원들을 포함해 모두 277명이 등록한 이번 학술대회에선 ‘측두하악장애 및 턱관절 손상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최근 개원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다양한 측두하악장애의 진단과 치료를 포괄적이고 심도있게 다뤘는데, '표절과 패러프레이징' 강연를 통해 연구자들이 놓치기 쉬운 연구윤리에 대해 짚어보는 시간도 함께 가졌다. 총 8개의 강연 중 먼저 '측두하악장애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세션 I’ 에서는 ▲정진우 교수(서울대 구강내과)의 ‘측두하악장애의 최신 진단 기준과 임상적 유용성’, ▲한상선 교수(연세대 영상치의학과)의 ‘측두하악장애의 영상검사’, ▲김혜경 교수(단국대 구강내과)의 ‘Top 10 Most Important Medications for Treating TMD’, ▲강수경 교수(경희대 구강내과)의 ‘측두하악장애의 물리치료’가 참가자들을 만났다. 또 '악안면 외상과 턱관절 손상을 위한 세션 II’ 에서는 ▲김영준 교수(강릉원주대 구강내과)의 ‘외상과 측두하악장애의 관련성’, ▲권긍록 교수(경희대 보철과)
대한심미치과학회(회장 이동환) 5차 인정의펠로우 고시가 학회 인정의교육원 과정을 이수한 27명이 응시한 가운데 지난 11일 치러졌다. 1차 필기시험, 2차 구술시험으로 진행된 이날 고시를 통과한 합격자는 모두 26명. 이 중 수석합격의 영예는 김창환 원장(하나치과)이 차지했다. 심미치과학회는 매년 인정의교육원을 이수하고 인정의펠로우 고시를 통과한 회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정의 펠로우 제도'와, 학회활동과 임상 케이스를 심사해서 수여하는 '인정의 마스터 제도'를 운영 중인데, 지금까지 학회가 배출한 인정의마스터는 54명, 인정의펠로우는 146명이다. 이동환 회장은 이번 인정의펠로우 배출에 즈음해 “코로나 19로 인해 제약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방역지침에 따라 교육에 임한 학회 교육원 관계자에게 감사드린다"면서 "어려운 시기에 배움을 향한 열정으로 결실을 맺은 인정의펠로우들이 매우 자랑스럽다”고 소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