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 제31대 허익 집행부가 출범했다. 구영 집행부의 뒤를 이은 31대 집행부는 허익 회장을 중심으로 7명의 부회장과 편집장, 정종혁 총무이사 등 이사 19명, 실행이사 29명 그리고 2명의 감사로 구성됐다. 허익 회장은 2019년 12월 열린 확대이사회에서 차기회장으로 선출될 당시 '내실있는 정진'을 모토로 '내적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임기는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이다. ▲회 장: 허익(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회장: 김원경(서울아산병원 치과), 계승범(삼성서울병원 치과), 이재목(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이용무(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김도영(김&전 치과의원), 김남윤(김남윤 치과의원), 설양조(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편집장: 신승윤(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총무이사: 정종혁(경희대학교 치과대학) ▲학술이사: 김창성(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재무이사: 신승일(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국제이사: 윤정호(전북대학교치과대학) ▲편집이사: 박준범(서울성모병원 치과) ▲보험이사: 김수환(서울아산병원 치과) ▲기획이사: 이동운(중앙보훈병원 치과) ▲섭외이사: 정의원(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수련고시이사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장명진) 온라인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2주간의 온라인 특강에 이은 이번 추계학술대회에는 1,000여명이 등록해 성황을 이뤘는데, 9명의 연자들이 펼친 다양한 주제의 강연들이 대회기간 내내 랜선을 달궜다. 프로그램은 이른바 ‘놈놈놈 시리즈’로 구성됐다. 각 연제를 살펴보면, 먼저 ▲세종탑치과 송일석 원장은 ‘정확한 위치의 임플란트 식립 노하우’를 제목으로 임플란트 수술을 충분한 사전 진단과 치료계획에 대한 고려없이 진행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열거하면서 올바르고 정확하게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경희대 치주과 임현창 교수는 '치조제 보존술: 임상과 연구 사이'를 제목으로 치조제 보존술의 임상적 중요성과 배경 연구 지식을 공유했다. ▲엘에이치과의 최용관 원장은 ‘빼는 cyst, 올리는 cyst, 남기는 cyst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구강내 낭종의 처치)’에 대해 열강했는데, 최 원장은 강연에서 임플란트 수술에 앞서 상악동 골이식을 진행할 때 낭종 병소에 대한 처치 및 임상 증례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김남윤치과의원 김남윤 원장은 ‘남기는 임플, 올리는 임
(재)신흥연송학술재단이 지난 16일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재단 이사장 이취임식을 개최했다. 초대 이승종 이사장에 이어 신임 조규성 이사장이 취임한 것. 이승종 전 이사장은 지난 2017년 11월 설립 이래 3년간 재단 운영을 맡아오면서 연송치의학상, 연송장학금, 연송장학캠프 등의 활동을 통해 치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 전 이사장은 이날 이임사를 통해 "㈜신흥 창립자인 이영규 회장이 늘 꿈꿔 오신 치의학계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뜻을 재단을 통해 실현해낸 점이 무엇보다 의미로웠다"며, “2대 이사회에서 연송치의학상이 더욱 권위있고 영광스러운 상이 될 수 있도록, 또 신흥연송학술재단이 글로벌 재단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힘써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조규성 신임 이사장도 취임사에서 “이승종 초대 이사장이 훌륭히 닦아 온 장학사업, 학술연구 지원사업 이외에 국민구강보건증진사업까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히고, “치과계 유일의 공익법인 재단 운영을 위해 후원을 아끼지 않은 (주)신흥에도 감사드린다" 말했다. 이취임식 직후 열린 재단 이사회에선 이종호 전 대한치의학회장이 새 이사로 선임됐다. 연송치의학상 상금 50% 상향 조정 이날 (재)신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안종모)가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에 걸쳐 회원과 비회원 130여 명이 등록한 가운데 온라인 전문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높아진 구강 점막질환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던 이번 전문학술대회는 '치과의사들이 흔히 접하지만 치료하기 어려워하는' 점막질환의 진단부터 치료까지의 전반에 걸쳐 알아보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먼저 진단을 위해 ▲심영주 교수(원광대 구강내과)가 ‘감별진단의 원리 및 방법’을 주제로 막막하기만 한 점막질환의 감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질환의 특징과 발생기전 그리고 고려해야 할 전신질환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조은애산드라 교수(연세대 구강병리과)가 ‘조직 검사의 활용’을 주제로 최종적으로 점막질환의 진단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조직검사를 개원가에서도 쉽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해는 활용법에 대해 강의했다. 두번째로 구강점막질환의 치료를 위한 강의에서는 ▲이윤실 교수(서울대 치과약리학과)가 ‘약물치료의 원리 및 방법’을 주제로 실제 임상에서 많이 사용가능한 약물들에 대해, ▲변진석 교수(경북대 구강내과)가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를 주제로 실제 임상에서 적용가능한 치료법에 대해 각각 강의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김진우) 2020년 추계학술대회가 4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지난 6월에도 온라인 학술대회를 치룬 적이 있는 근치학회는 이번엔 참가자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 완성도 높은 온라인 학술대회를 치를 수 있었는데, 먼저 사전 스튜디오 녹화를 통해 연자들이 안정적으로 강연을 준비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학술대회 기간 이후에도 2주간 원하는 시간에 강연을 들어 보수교육 점수를 이수할 수 있도록 등록자들을 배려했다. 동시에 강연이 끝날 때 마다 실시간으로 연자와 좌장, 온라인 청중이 토론과 질문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칫 생동감이 떨어질 수 있는 온라인 학술대회의 한계를 극복해냈다. 또 해마다 한-일을 오가며 열었던 공동학술대회를 동시에 진행, 양국간의 학술교류를 지속적으로 다져나갈 수 있게 했다. 학술대회 첫번째 세션은 ‘다양한 NiTi file의 선택기준’에 관한 것이었다. 여기에선 신동렬원장 (강남루덴플러스치과)과 곽영준원장(연세자연치과)의 강연에 나서 청중의 호응을 얻었다. 이어 조신연교수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가 ‘근관장 설정, 조금 더 정확하게!’를, 정일영 교수(연세대)가 ‘근관치료 후에 사라지지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구영) 제60회 학술대회가 지난 8일부터 14일까지 일주일간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Keymedi 플랫폼을 활용한 이번 대회는 녹화 강연과 e-포스터로 참가자들을 맞았으며, 전공의 임상 및 연구 구연발표는 이보다 앞선 11월 7일 오전 9시부터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강연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Symposium I은 '임플란트 1세대가 후학들에게'를 주제로 성무경 원장(목동 부부치과의원)이 ‘How to reduce complications in implant treatment?’를, 박원배 원장(박원배치과의원)이 ‘A message from the 1st generation speaker to the juniors- Focused on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을 제목으로 강연했다. 'Classic periodontal therapy'를 주제로 한 Symposium II에선 김옥수 교수(전남대학교 치과대학)가 ‘Clinical significance of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를, 이학철 원장(서울A치과의원)이 ‘Reality of furcation treatment
온라인으로 진행된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권긍록) 제84회 학술대회가 열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 8일 종료됐다. 'Preparation for the next decade of Prosthodontics'를 대주제로 보철치료의 기본부터 최첨단의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보철적 응용에 이르기까지 치과보철학 각 분야를 망라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총 1,431명이 등록, 1일 1회로 집계한 누적 접속자 수가 4,046명에 이를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 접속자가 많은 날에는 545명이 학술대회 웹페이지에 접속해 강연을 시청하기도 했다. 온라인 학술대회가 처음인 보철학회는 이번 대회를 준비하면서 강연 내용은 물론 화질을 높이기 위해 특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와 함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회 기간 중에도 개선이 필요한 문제들은 즉각적으로 바로잡아 참가자들의 편의를 도모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해외 연자 2명을 포함한 총 12명의 연자들이 사전 녹화한 동영상을 시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와 함께 2020-2021년 우수보철치과의사 과정 입학식 및 제 1강의도 학술대회 홈페이지 내에서 시청이 가능하도록 했다. 영어세션을 포함한 구연 발표에는 총 30명이 참가했는데, 이
학회 창립 60주년을 맞은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구영)가 그간의 발자취를 정리한 '60년사'를 발간했다. 지난 50년사에 최근 10년간의 활동기록을 추가해 제작한 '대한치주과학회 60년사'는 온라인 종합학술대회에 맞춰 발간됐는데, 구성을 보면 제1장 비전 및 미션, 제2장 사진으로 보는 대한치주과학회 60년, 제3장 대한치주과학회 60년사, 제4장 대한치주과학회 학회현황, 제5장 대한치주과학회 학술지 발전, 제6장 대한치주과학회 출판 및 홈페이지 관련 현황, 제7장 대한치주과학회 학술대회, 제8장 대한치주과학회 국제교류 현황, 제9장 대한치주과학회 대국민 홍보현황, 제10장 대한치주과학회 제규정 등 10개 Part로 편제됐다. 치주과학회는 이번 60년사를 준비하면서 ▲가급적 시각자료를 많이 담아 좀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게 할 것과 ▲국제교류 현황과 국제 및 종합학술대회 그리고 치주병에 대한 대국민 홍보활동에 대해 자세히 소개할 것 등 두가지 점에 특히 중점을 두었다. 편집과 발행을 총괄한 신승윤(JPIS 편집장) 60년사 편찬위원장은 "지난 10년간 학회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면서, 60년사에 오른 사업 중 JPIS의 SCIE 등재, 10년을 이어온 잇몸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구영) 대구-경북지부(지부회장 이재목)가 지난달 6일(금) 화상회의 프로그램 줌(ZOOM)을 이용한 온라인 학술 집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지부행사로는 비교적 많은 인원인 180명이 함께 했는데, 온라인의 장점을 살려 미국 부산 등 멀리에서도 강의에 동참했다. 집담회에선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 이원표 교수가 연자로 나서 ‘Soft tissue management for teeth and implants: Clinical tips'를 주제로 강의했다. 이 교수는 ▲변형된 골막 천공술(mPF), ▲부분 탈상피화 결합 조직 이식술(PE-CTG), ▲silicone cap, ▲Hyaluronic Acid filler를 이용한 치간유두 증대술을 다양한 임상증례로 보고했는데, '기존 술식을 보다 간단하고 쉽게 임상에 적용할수 있는 유용한 노하우를 심도깊게 들어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집담회는 마지막까지 많은 질문과 답변이 오갈 만큼 열기가 뜨거웠다. 주최측은 '온라인이라는 다소 어색하고 낯선 환경임에도 참석자들의 열의로 성공적으로 집담회를 마무리할수 있었다'고 밝혔다.
2020년도 통합치의학과 전문의시험에서 3,423명이 최종 합격했다. 1차 합격자 2,871명과 1차시험 면제자 604명 중 결시자 12명을 뺀 3,463명이 2차시험에 응시해 이 가운데 40명을 제외한 3,423명이 최종 합격의 기쁨을 맛봤다. 이번 2차시험 합격률은 98.8%. 그러나 1, 2차 전체 응시자를 기준으로 한 최종합격률은 79.9%로 지난해의 77.8%보다 2.1%가 높아졌다. 이번 통치 전문의시험은 1차의 경우 문제가 까다로운 데다 지문도 길어 100문항을 120분 내에 소화하기가 벅찼다는 평가를 받았다. 응시자들은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라는 문항이 특히 까다로웠다'며, '문제를 읽는데에도 시간이 모자랄 지경이었다'고 술회했다. 결국 1차 시험에선 복수의 문항에서 이의가 받아들여지면서 최초 발표 이틀만에 140명이 추가합격하는 해프닝이 빚어졌다. 1차시험의 여파 때문인지 2차시험은 비교적 쉬었다는 평이었다. 한 응시자는 '20분만에 문제를 다 풀고 나머지 40분간 천천히 다시 점검했지만, 답안지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말로 시험장 분위기를 설명하기도 했다. 지난해 2,163명에 이은 이번 통치 합격자 3,423명을 포함하면 전체 전문치과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