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최종훈, 이하 구강내과학회)가 오는 19일 경희대치전원 강당에서 ‘2016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한다.‘건강하고 통증 없는 삶을 위한 치과의사의 역할’을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석·박사 학위자들의 논문발표를 시작으로 다양한 주제 강연이 마련됐다. 최종훈 회장은 “안면통증 구강내과학 분야가 치과계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때문에 구강내과 역시 새롭게 기술된 임상 지식 등을 요구받고 전달하기 위한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이번 학술대회는 ‘건강하고 통증 없는 삶을 위한 치과의사의 역할’를 주제로 최신 연구에 대한 고찰과 구강내과 분야 중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의 진단 및 치료부터 암에 대한 예방법, 그리고 금연치료 부분까지 소개하며 학문적`임상적 정리와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술대회는 홍삼표(서울대) 교수가 ‘암 예방법’에 대한 강의를 시작으로 고홍섭(서울대) 교수가 ‘치과진료실에서의 금연치료’를, 정일영(연세치대) 교수가 ‘치수 기원의 치통’에 대해 강의하고, 강진규(원광치대) 교수가 ‘지속적 양상의 비치성 통증’을 주제로, 옥수민(부산대치전원) 교수가 ‘간헐
오는 4월 2일 오후 4시부터 이대목동병원 의학관 212호에서 ‘2016 이화 턱얼굴 심미센터 개설기념 심포지엄’이 열린다. 이 심포지엄은 이화의대 의료원에 센터 설립을 기념하며 열리는 만큼 이대 목동병원 치과 진료부 임상 및 학술증대를 위한 학술의 장으로 마련된다.새롭게 개설되는 이화 턱얼굴 심미센터의 센터장은 김선종 교수가 맡는다. 김선종 교수는 이번 심포지엄에 대해 “턱얼굴 심미센터 개설을 기념해 턱얼굴 분야의 풍부한 임상경험과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턱얼굴 교정 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함께 나누고 의견을 나눠 임상 등의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심포지엄은 김선종 교수가 ‘안전하고 Predictable한 턱얼굴 심미치료’에 대해, 이희승(이화의대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턱교정수술에서 저혈압마취’를, 김기정(위즈치과) 원장이 ‘다양한 턱교정 심미수술’를 주제로 강의한다.또 황현식(전남대) 교수가 ‘선수술, 왜 더 안전한가? How come the surgery-first orthodontics is safer?’를 주제로, 마지막 강연은 최진영(서울대) 교수가 ‘수면장애환자에서 턱교정수술 MMA(Maxilla-Mandibular Advanceme
오상윤(아크로치과)원장이 진행하는 A.T.C임플란트 연수회가 오는 12일(토)부터 내달 24일(일)까지로 개강을 앞두고 있어 벌써부터 개원가의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총 8회차로 구성된 이번 A.T.C임플란트 연수회는 신흥연수센터에서 진행될 예정으로, 이번에도 A.T.C임플란트 연수회만의 저력을 자랑하는 강연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중. A.T.C임플란트 연수회는 국내의 몇 안되는 임플란트 연수 프로그램으로 오상윤 원장이 10여년 간 디렉터로 총괄을 맞고 있으며 그만큼 신뢰와 명성이 두터운 연수회다. 디렉터 오상윤 원장은 A.T.C 연수회만이 갖고 있는 특장점에 대해 “A.T.C라는 이름 안에 연수회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며 “A는 Approach를 뜻하는데 과학적인 베이스를 토대로 진료에 필수적인 술식을 연구하여 임상에 접목할 수 있도록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을 뜻한다. T는 Technique, 이론 후 실습 과정이다. C는 Concentration으로 강한 집중력과 정신력이다. 아무리 좋은 술식을 배웠더라도 실습 과정에서 실전처럼 강한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설명하며 ATC의 의미를 설명했다. A.T.C임플란트 연수회는
KCQ(Korea Conference on Qray)는 지난달 21일 ‘Qray(QLF)의 현재와 미래를 논하다’를 주제로 ‘2016 KCQ 리서치 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Qray(QLF) 연구자 그룹 토의’, ‘2015년 Qray(QLF) 연구 성과 발표회’, ‘그룹토의 결과 발표’로 세션을 나눠 진행했다.먼저 Qray(QLF) 연구자 그룹 토의는 Qray의 이용이나 연구에 대한 경험이 있거나 연구를 계획 중인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치아 경조직 연구 또는 구강미생물 연구에 대한 주제로 그룹별 토의를 진행하며, 연구자 간의 경험을 공유하고 보다 나은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시간을 가졌다.또 2015년 Qray(QLF) 연구 성과 발표회에서는 이민아(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선생이 ‘QLF를 이용한 일부 구강 미생물의 형광 발현 변화 측정’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는 등 6편의 연구 성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연구자 그룹 토의에서 제기된 의문사항에 대해 토의하고 참가자들의 의견을 공유하는시간을 가졌다.한편 이날 KCQ는 운영위원회를 열고 신임 회장에 조영식(남서울대치위생학과) 교수를, 차기회장에 박덕영(강릉원주대예방치과학교실) 교수를 선출
경기도치과의사회 보험위원회가 오는 3월 7일부터 8회에 걸친 임상보험연수회를 진행한다.지속적인 경기 불황과 환자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규 회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진행되는 연수회는 보험청구와 임상을 함께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연수회 기획 당시 신규 회원에 한해 진행하려 했지만 이사회 승인 과정에서 신규회원 및 기존 회원들에게도 유익한 강연이 될 수 있다는 의견으로 연수회의 규모를 70명으로 늘려 진행한다. 교육비는 무료며, 연수회 후에는 수료증이 발급 된다.강의 주제는 '보험으로 접근하는 치과경영', '건강보험의 구조와 현지조사', '심미적 수복치료', '보험과 비보험이 혼재된 상황에서의 보험진료', '근관치료 프로토콜 및 MTA의 사용', '보존과 관련된 보험진료', '치주프로토콜 및 로컬에서 자주 하는 치주수술', '치주와 관련된 보험진료', '매복 발치의 팁과 로컬에서 꼭 알아야 할 응급대처술', '외과와 관련된 보험진료', '틀니란 무엇인가? 임플란트와 함께 사용하는 국소의치', '보철과 관련된 보험진료', '턱관절장애의 기초적 접근 및 그와 관련된 보험청구', '실전! 진료에서 청구까지' 등으로 진행된다.한편 북부지역에서도 임상보험연수회
오스템임플란트가 오는 3월 26일부터 양일간 ‘Various Alveolar Ridge Augmentation Technique ; From GBR to Block Bone Graft’를 주제로 연수회를 개최한다.가산동 소재 AIC연수센터에서 진행될 이번 연수회는 김용진 원장(일산앞선치과 사진)이 Course Director를 맡고, 한기덕 원장(서울이웰치과)과 김준영 원장(서울그랜드치과), 신준모 원장(닥터신치과), 김진구 원장(연세구치과) 등이 Faculty로 참여할 예정이다.이번 연수회는 새롭게 선보이는 Advanced 과정이라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오스템 관계자는 “성공적인 GBR과 block bone graft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고, 임상적 tip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실습을 통해 다양한 차폐막과 연조직 처치법, block bone graft technique을 익힐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다양한 골이식재와 차폐막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결손부의 특징에 알맞은 골이식재와 차폐막을 적절히 사용해야만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임상결과가 좋은 allogenic block bone를 활용하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이 주최하고 ㈜신흥이 후원하는 ‘구기태 교수 Peri-implantitis Treatment Table Clinic’ 연수회가 오는 4월 3일(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구기태(서울대치과병원)교수는 '임플란트 주위염 완전정복'을 제목으로 Peri-implantitis에 대해 강연하면서 치료법과 수술 방법을 직접 실습해 볼 수 있는 시간도 마련,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고민을 한 방에 날려버릴 예정이다. 세미나는 4월 3일을 시작으로 오는 6월, 9월, 12월에 거쳐 진행될 예정이며, 자세한 일정은 추후 공지될 예정이다. 보수교육 점수 2점이 인정되고, 세미나 종료 시 서울대학교치의학대학원 Certificate 가 수여된다. 등록문의는 080-819-2261, 보수교육문의는 02-740-8603으로 하면 된다.■ 강의 내용 -우리는 왜 Peri-implantitis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가?-Peri-implantitis란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Peri-implantitis의 초기 대응법은 무엇인가?-수술을 하지 않고 치료하는 방법은?-Peri-implantitis의 예방법은?-Peri-implant
한국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회장 차봉근)가 2번째 학술강연회를 앞두고 지난 19일간담회를 열어 소식을 전했다. 성장치기과교정연구회는 오는 4월 10일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지하 대강당에서 'Treating immediately, or Waiting: Dilemma in Class Ⅱ malocclusion'를 주제로 학술강연회를 마련된다.지난해 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가 창립 기념 학술대회를 준비하며 연구회의 발족 이유를 ‘교정치료의 핵심가치가 환자의 심미성과 기능성 회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부정교합은 어린나이부터 발현할 수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능적·심미적 변이를 가져올 수 있기에 성장기 아동에서 근신경계 부조화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히며, 수년간의 연구와 임상 결과를 공개했었다. 이런 이유로 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는 치과 진료의 방법론적 접근보다는 치료의 철학을 나누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올해 강연도 치아 기능을 고려한 주제로 강연의 방향을 정했다고. 차봉근 회장은 “이번 강연회를 준비하면서 지난해만큼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까봐 부담감이 컸다. 과연 도덕적으로 접근한 진료에 대해 언급했는지도 고민거리였다. 하지만 지난
오는 3월 16일, 23일, 30일(수) 총 3회에 걸쳐 ‘김샘의 엔도이야기_기본에서 답을 찾는 근관치료’ 연수회가 신흥연수센터에서 개최된다. 본 세미나는 매년 개최될 때마다 세미나 시작 전 문의가 쇄도하고 늘 조기마감을 기록하는 뜨거운 인기를 자랑하는 세미나이다. 세미나의 연자로 나서는 김현기(연세휴치과)원장은 “근관치료에 있어 기본을 잘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매년 더 많은 선생님들이 근관치료에 대한 기본기를 다지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세미나를 준비한다”고 전했다. 매 회차마다 인기 연수회로 진행중인 본 세미나는 정확하고 실용적인 근관치료 프로토콜을 통해 확실하고 안정적인 솔루션을 얻어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은 물론, 매 회차 마다 진행되는 핸즈온 실습 시간에는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실전 팁을 배워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월 16일(수)에 예정되어 있는 1회차 강의에서는 치아별 3차원 치근관 형태 분석 및 근관 와동 형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근관장 측정 방법이 제시될 예정이다. 3월 23일(수) 열릴 2회차 강의에서는 ‘Ni-Ti rotary instrumentation의 기본 및 최신 경향’이라는 주제 하에 Glide path
윤현중 교수(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치과 사진)의 Advanced Sinus Surgery Course가 오는 27일 서울 삼성동 오스템 AIC 연수센터에서 개최된다.이번 연수회에서 윤 교수는 직접 개발에 참여한 'Sinus membrane lifter drill'과 CAS-Kit, LAS-Kit을 이용해 '골이식 없는 상악동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 열띤 강연을 펼친다.One Day로 진행되는 이번 코스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해부학적 요점정리 ▲Immediate, early or delayed implantation의 결정 어떻게 하나? ▲골이식 재료 선택의 노하우 ▲Socket preservation의 실체와 대응법 ▲CAS and LAS Sinus kit의 활용 ▲상악동 골이식 없는 빠르고 안전한 임플란트 식립법 ▲CAS Kit, LAS Kit과 Sinus membrane elevator 활용을 위한 Hands on ▲Video 상영 및 질의 응답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다.오스템 관계자는 "이번 핸즈온은 AIC의 노하우가 축적된 Dentiform 모델과 새로 개발된 드릴을 이용해 진행되므로 시술자의 실전감각을 익히는데 꼭 필요한 강연이 될 것"이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