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회무·정책

덩치 커진 치협, 한해 총괄예산 1백억원대 육박

일반회계 + 정책硏 + 치의신보 > 91억원

치협 일반회계 2014년 예산액은 55억8,311만원이다. 지난해에 비해 7,564만원이 늘어난 규모로, 수입구성을 보면 회비수입이 53억311만원으로 95%, 잡수입이 2억3,000만원으로 4.1%, 이월금이 5,000만원으로 0.9%를 차지하고 있다.

치과의료정책연구소의 올해 예산액은 7억2,997만원. 회비수입과 3,000만원의 잡수입 그리고 1억1,074만원의 이월금을 합친 금액이다. 여기에 치의신보 특별회계 예산 28억2,564만원을 더하면 치협이 고유목적에 따라 가용할 수 있는 예산액의 규모는 91억4,072만원이 된다.

여기까지만 보면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예산액이 그대로 집행액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산은 예산일 뿐 수입이 예산을 따라주지 못하면 씀씀이도 거기에 맞춰 줄여야 한다.

 

 

그럼에도 사업예산 집행율은 여전히 저조

 

4월 26일 대의원총회에 보고된 2013 회계연도 결산서를 보면 우선 회비 수입에서 실제 걷힌 돈은 예산액의 69.1%인 35억8,173만원에 불과했다. 예산표에서 적어도 30%는 낮춰 집행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더구나 회비수입이 낮다보니 집행부는 기타 수입에 신경을 쓰게 된다. 기타 수입이란 대체로 무리를 하면 탈이 날 수도 있는 돈을 의미한다.

치과의료정책연구소 예산도 일반회계와 사정이 비슷하다. 예산의 대부분을 회비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회비를 걷어주는 시도지부에 목을 맬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정책연구기관으로서의 독립성에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정책연구소의 지난해 회비수입은 4억2,539만원으로 예산액의 73.8% 수준이었다. 여기에 잡수입과 이월금 그리고 국가연구용역비를 합쳐 겨우 예산의 81.7%에 해당하는 6억2,393만원을 충당했다.

 

치의신보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광고 수입이 대부분인 회계 특성상 예산과 수입에 편차가 적을 뿐 아니라 필요할 경우 전기미수금을 바짝 끌어들일 수 있는 탄력성을 항상 갖고 있다.

따라서 지난해의 경우 예산보다 수입이 13.2%나 초과하는 실적을 올렸다. 28억의 예산을 3억7천만원이나 초과해 32억원이 넘는 수입을 기록한 것이다. 치협은 이 돈에서 고유목적사업준비금 등을 당겨 활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따졌을 때 지난해의 치협 총괄 예산액 대비 집행액은 몇 %나 될까? 지난해 일반회계의 경우 에산액 55억746만원에 집행액은 52억2,248만원. 치과의료정책연구소의 경우 예산액 7억6,373만원에 보관금을 포함함 집행액 6억2,393만원. 치의신보의 경우 예산액 28억2,833만원에 집행액 32억237만원.

따라서 총괄 예산 90억9,952만원에 집행액 90억4,878만원으로 지난해의 경우 거의 100%에 가깝게 예산과 수입을 맞춘 셈이 된다.

 

 

가장 큰 문제는 낮은 회비납부율

 

그러면 문제는 없는 걸까? 하지만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편의상 총괄 예산이라 묶긴 했어도 결국 치협의 정책사업들을 이끄는 힘은 일반회계에서 나온다는 걸 금방 알 수 있다. 치의신보는 제작비와 관리비가 거의 전부인 예산이고, 정책연구소 또한 우선적으로 해야 할 사업이 뚜렷한 기구이다.

그러다 보니 약간의 도움은 가능할지 몰라도 이 세 개를 퉁쳐서 수입과 지출을 맞추기란 애초에 불가능하다. 참고로 지난해 치협의 사업비 집행률은 회비수입률과 같은 69%에 머물렀다. 29억4,083만원의 예산 중 20억2,966만원만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사업위원회 별 집행율의 편차 또한 클 수밖에 없다. 가령 학술위원회, 자재표준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경영정책위원회 등은 50%에도 못 미치는 예산 집행율을 보였다. 다른 긴급한 사용처에 예산을 양보한 때문이다.

누구라도 예산의 절반도 안 되는 돈으로 당초 계획한 일들을 모두 해낼 수는 없다. ‘협회가 하는 일이 뭐냐’고 따지기만 할 게 아니라 협회가 일을 할 수 있도록 예산부터 챙겨주는 것이 그러므로 유사시 집행부를 몰아세울 무기가 되기도 한다.

공연히 덩치만 커진 외화내빈의 ‘100억원대 예산’으로는 보험국 확대도, 전문인력 채용도 그림의 떡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