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디지털치의학회(회장 이양진)가 오는 5월 11일(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유광사홀에서 'Breakthroughs in digital dentistry, then, now and forever - 디지털치의학의 오늘과 미래로의 도약'을 대주제로 2025년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종합학술대회는 치협과 치위협의 보수교육이 같이 기획되어 다양한 강의가 준비되었으며, 디지털 치의학에 대한 임상 강의뿐만 아니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치의학에서 아직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디지털 데이터의 법률적인 사항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이다. 치과위생사 세션에서도 디지털 장비의 운영 및 구강스캔에 대한 팁과 3D 진단데이터의 관리에 대해 강의가 진행된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먼저 ▲허민석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가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및 현재 발전 상황, 그리고 앞으로의 응용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이어 ▲장근영 원장(서울하이안치과)이 '디지털 법률 아는 자 VS 모르는 자'를 제목으로 환자의 다양한 디지털 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와 관련된 법률적 사항에 관해 짚어볼 예정.
두번째 세션은 해외 연자인 ▲태국 Chaimongkon Peampring 교수(Prince of Songkla University)의 '디지털을 활용한 전악 재건 수복의 과정'에 대한 강연으로 시작한다. 그는 온라인 VOD 강연을 통해 디지털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 임시수복물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최종 수복물의 제작, 그리고 이후 유지 관리에 있어서의 디지털 접근 방식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서상진 원장(예인치과)이 전악 임플란트 치료 과정에서의 술식과 단계별 발생할 수 있는 중요 오차를 검증하고 보상할 수 있는 방법, 디지털 마운팅과 안면 데이터 활용, iBar 메탈-지르코니아하이브리드 브리지 등에 대한 최신 트렌드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세번째 세션에선 ▲강재석 원장(예닮치과병원)이 디지털 임상에서 구강스캐너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증례들을 통해 살펴본다. 또 배기선 원장(선부부치과교정과)이 최근 교정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얼라이너를 통한 디지털 투명교정 방법'과 '3D 프린팅 디지털 브라켓과 NiTi 원형 호선의 조합에 의한 방법'을 비교하면서 교정 치료에 있어서의 디지털의 활용 가능성을 짚어볼 예정이다.
네번째 세션에서는 교합과 관련해 예지성 있는 결과를 위한 디지털 술식의 방법들이 소개된다. 먼저 ▲이계형 원장(여수 21세기치과치과교정과)이 3D digital data를 활용하여 virtual articulator를 제작하는 과정과 제작된 virtual articulator를 이용해 stabilization splint를 디자인하고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어 ▲송주헌 교수(조선치대)가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인상 채득 후 교합채득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과 어떻게 하면 안정적인 교합관계를 채득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치과위생사 세션에선 먼저 ▲윤신혜 실장(예스미르치과)이 '구강스캔의 기본 원리 및 스캔 품질을 높이는 방법, 스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을 살핀 다음 실무에서 활용할 유용한 팁과 노하우까지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유연주 실장(엘에이치과)이 치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강스캐너, 디지털 방사선기기, 3D 프린터 등 대표적인 디지털 장비들의 사용법과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 그리고 디지털 장비의 감염관리와 유지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김범수 원장(비윤드치과병원)이 다양한 환자의 3D 진단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디지털 작업 과정을 살펴본 뒤 3D 진단데이터의 수집, 정렬,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현재 540여 명의 회원을 둔 디지털치의학회는 회원인준사업도 진행 중인데, 이날 최초로 10명의 인준의를 배출할 예정이다. 사전등록 기간은 오는 28일까지이며, 보수교육 4점(치과위생사 2점)이 인정된다.
대회를 준비 중인 이양진 회장은 "이번 종합학술대회는 새 집행부가 새 마음으로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모두에게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관심있는 임상 치과의사들의 많은 관심과 참석'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