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월 1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84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0,238명(해외유입 9,45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6,21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8,961건(확진자 73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374건(확진자 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8,547건, 신규 확진자는 총 507명이다. 시도별로는 서울 197명, 부산 9명, 대구 11명, 인천 21명, 광주 1명, 대전 12명, 울산 11명, 세종 1명, 경기 151명, 강원 9명, 충북 19명, 충남 7명, 전북 3명, 전남 4명, 경북 10명, 경남 12명, 제주 6명이며, 해외유입은 검역단계에서 10명, 지역사회에서 1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787명으로 총 141,816명(94.39%)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6,42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9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996명(치명률 1.33%)이다. 백신접종은 약간 속도가 무뎌지긴 했지만 대체로 순조로웠다. 17일 하루동안 412,987명이 접종을 받은 것. 이
기호 3번 박태근 후보가 지난 17일 서울 소재 3개 대학 학장 및 병원장을 찾아 환담했다. 박 후보의 대학 순방은 현장에서 치과계 현안에 대한 의견과 조언을 구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는데, 서울대 권호범 학장과 구영 병원장, 경희대 황의환 병원장, 연세대 김의성 학장과 일정을 맞출 수 있었다. 박태근 후보는 "많은 격려와 조언을 얻은 소중한 자리였다"며, '바쁜 시간을 쪼개 주신 네 분'께 감사를 표했다. 캠프 측은 '경희대 정종혁 학장과 연세대 심준성 병원장은 휴가 중이어서 다음을 기약했다'고 전했다.
기호 2번 장은식 후보가 오는 19일(토) 오후 3시 제주시 1100로 3351 3층에서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갖는다. 이번 치협 보궐선거에 출마한 장 후보는 제주도치과의사회에서 치무이사, 총무이사, 감사를 거쳐 현재 회장으로 활약하고 있으며, 제주시치과의사신협, 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제주지부에서도 주요 이사로 활동했었다. 이번 선거에선 보험규모 확대, 협회장 상근제 폐지, 단체협약 재협상, 치과신기술 지원, 계파주의 극복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개소식은 코로나 상황을 감안해 최소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하고, 유권자들에겐 사진과 동영상으로 소식을 전할 예정이다. ■ 장은식 후보 선거캠프 구성 ▲공동선거본부장: 부용철(제주도 23대 회장, 경희치대 8회), 부기은 (제주도 24대 회장, 조선치대 2회), ▲선거사무장: 강철흔(전북치대 13회), ▲선거공보이사: 김대준(단국치대 6회), ▲선거법제이사: 현승돈( 조선치대 21회)
어제 하루도 54만여 명이 백신접종을 받았다. 이 가운데 280,928명이 접종을 완료해 누적 접종완료 인원은 3,755,040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인구대비 7.3% 수준이다. 1차접종인원은 13,790,841명(26.9%). 7월 1일부터 시행될 해외 예방접종완료자 격리면제와 관련해서도 정부는 대상자를 보다 구체화했다. 관광 등 비필수 목적을 위해 입국하는 해외 예방접종완료자는 격리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것. 즉, 해외에서 예방접종을 완료했더라도 중요사업상 목적, 학술 ‧ 공익 목적, 인도적 목적(장례식 참석, 국내 거주하는 직계가족 방문), 공무국외출장 목적에 해당되는 경우에 한해 격리면제가 가능하다. 정부는 이와 관련 "이번 격리면제서 발급기준에 새롭게 추가된 ‘직계가족 방문’의 경우, 펜데믹으로 인해 타국에서 오랜기간 부모님을 찾아뵙지 못하는 애로사항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우선 직계가족부터 격리면제를 적용하고 향후 입국규모, 입국자 확진율 등 국내 방역에 미치는 상황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이를 형제자매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다시 5백명대로 늘어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월 16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22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9,191명(해외유입 9,41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2,91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9,039건(확진자 8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544건(확진자 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4,498건, 신규 확진자는 총 545명이다. 시도별로는 서울 199명, 부산 13명, 대구 16명, 인천 11명, 광주 1명, 대전 28명, 울산 6명, 세종 4명, 경기 184명, 강원 7명, 충북 17명, 충남 7명, 전북 2명, 전남 8명, 경북 3명, 경남 7명, 제주 9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705명으로 총 140,438명(94.13%)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6,76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9명,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993명(치명률 1.34%)이다. 백신은 어제 하루동안 617,181명이 접종을 받았다. 따라서 16일 0시 기준 누적 1차접종 인원은 13,219,207명이며, 접종완료 인원도 3,472,376명으로 늘어났다. 백신 종류별 접
일별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300명대를 유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월 1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47명, 해외유입 사례는 27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8,647명(해외유입 9,39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0,97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3,673건(확진자 45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023건(확진자 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7,669건, 신규 확진자는 총 374명이다. 시도별로는 서울 128명, 부산 6명, 대구 16명, 인천 11명, 광주 3명, 대전 14명, 울산 4명, 세종 7명, 경기 118명, 강원 2명, 충북 14명, 충남 6명, 전북 4명, 전남 3명, 경북 2명, 경남 3명, 제주 6명. 신규 격리해제자는 711명으로 총 139,733명(94.0%)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6,92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8명, 사망자는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992명(치명률 1.34%)이다. 백신도 15일 0시 기준, 731,735명이 새로 1차접종을 받았다. 이 중 256,443명이 접종을 완료해 접종완료 인원은 총 3,262,733
경희대치과병원 바이오급속교정센터 김성훈·최진영 교수팀이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치료 효율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SCIE급 저널인 ‘센서스(SENSORS, IF3.275)’에 발표했다. 교정용 미니스크류는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구강 내 장치만으로도 헤드기어를 능가하는 높은 치료 효율성을 발휘, 부정교합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환자의 골질과 해부학적인 한계, 풀림회전에 대한 약한 저항성으로 인해 치료과정 중에 탈락하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김성훈 교수는 이와 관련 “탈락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보철용 임플란트처럼 뼈가 잘 달라붙을 수 있도록 특수표면처리를 하거나 직경을 늘리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면서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롭게 개발한 미니스크류 시스템은 스크류 나사선 상부의 직경을 줄이는 대신 하부 나사선을 따라 수직홈을 형성해 미니스크류 식립 시 인접골 저항성을 감소시켰으며, 뼈가 차오르고 난 다음에는 제거 저항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등 디자인 변형을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고 소개했다. 신형 미니스크류는 풀림회전 적용 시 회전 저항성이 다른 조건군에 비해 높았으며, 그
일요일에도 접종은 계속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14일 0시 기준으로 27,481명이 새로 접종을 받았고, 이 가운데 11,774명이 접종을 완료해 총 접종완료 인원은 3,004,029명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인구대비 5.9%에 해당하는 숫자이다. 누적 1차접종 인원은 11,830,381명이다. 13~14일 0시 기준,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사례는 2,213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대한 이상반응은 87건이었는데,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가 12건, 주요 이상반응이 69건 그리고 사망사례도 6건이 발생했다. 신규 사망사례를 백신별로 분류하면 AZ백신이 4건, 화이자백신이 1건, 얀센백신이 1건이다. 누적 접종후 사망사례는 총 241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1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60명, 해외유입 사례는 39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8,273명(해외유입 9,364명)으로 나타났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12,59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2,171건(확진자 65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90건(확진자 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26,151건, 신규 확진자는 총 399명
백신접종은 순조롭다. 6월 11일 0시 기준으로 733,067명이 새로 추가돼 총 10,565,404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285,448명이 접종을 완료해 2차접종까지 마친 인원도 총 2,636,135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1차 접종자들은 406,782명이 AZ백신을, 74,498명이 화이자백신을 그리고 251,787명이 1차로 접종이 완료되는 얀센백신을 맞았다. 신규 확진자는 1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541명, 해외유입 1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46,859명(해외유입 9,252명)이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4,20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0,328건(확진자 8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027건(확진자 1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7,557건, 신규 확진자는 총 556명이다. 시도별로는 서울 201명, 부산 25명, 대구 23명, 이넌 17명, 광주 1명, 울산 15명, 세종 1명, 경기 172명, 강원 10명, 충북 16명, 충남 5명, 전북 4명, 전남 5명, 경북 6명, 경남 20명, 제주 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511명으로 총 137,224명(93.44%)이 격리 해제되
구영 서울대치과병원장이 지난 10일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챌린지’에 동참했다.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챌린지’는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과 안전한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지난 12월부터 행정안전부와 교육부가 공동 주관한 릴레이 공익 캠페인으로, ‘1(일)단 멈춤 · 2(이)쪽 저쪽 · 3(삼)초 동안 · 4(사)고 예방’ 교통안전 표어를 들고 있는 모습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하고 후속 주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날 구영 병원장은 소아와 청소년의 치아 건강을 위해 힘쓰고 있는 소아치과 송지수 교수와 캠페인에 함께 했다. 송지수 교수(소아치과 전문의)는 “어린이는 넘어지거나 부딪히면서 치아나 얼굴 부위에 외상이 흔히 발생하지만, 유치가 손상된 경우에는 곧 빠질 치아라고 생각하여 치과에 방문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유치의 뿌리 부분과 잇몸뼈 안에서 자라고 있는 영구치의 머리 부분은 서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유치의 손상이 영구치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치과에서 반드시 검진해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구영 병원장도 “서울대치과병원은 국민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대응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