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치과병원(병원장 조봉혜)이 ‘2019년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았다. 이와 함께 공공보건의료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공공의료실 위혜진 치과위생사도 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평가는 222개 공공의료기관 중 2019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를 제출한 189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는 평가점수 결과에 따라 최우수(90점 이상), 우수(80점 이상) 등 5개 등급으로 구분되는데, 부산대치과병원은 최우수 등급(91.4점)을 획득해 전국 국립대학교 치과병원 중 최고 점수를 받았다. 부산대치과병원은 권역 내 유일의 치과대학병원이자 치과계 공공의료기관으로 지역의 구강건강안전망 구축 및 미충족 필수의료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다양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 취약계층 구강보건진료사업’은 이번 평가에서 우수사례로 평가받았다. 조봉혜 병원장은 “임직원들과 지역사회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로 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취약계층의 치과의료 접근성 향상과 지역사회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대치과병원(원장 구영)이 보건복지부 주관 ‘2019년 공공보건의료계획 평가 및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 유공부문’에서 3년 연속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3년 연속 최우수기관은 국립대치과병원으로서는 이번이 최초이다. 국립대학병원, 지방의료원, 특수병원, 노인병원 등 공공병원 222개소를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는 공공성 강화, 양질의 적정진료, 건강안전망, 미충족서비스 등 4개 영역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졌는데, 서울대치과병원은 '기관의 설립 목적에 따라 수립된 공공보건의료계획 대비 모든 평가 영역의 사업들이 적정하게 수행되었고,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의 위상에 부합하는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구영 원장은 이번 최우수기관 선정에 즈음해 “따뜻한 애정과 관심으로 의료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소외계층을 포함한 국민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은 서울대치과병원의 중요한 역할이자 사명이라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국내·외에서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민에게 신뢰받고 타 병원의 모범이 되는 서울대치과병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대치과병원(원장 구영)이 지난 22일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20년도 국공립대학,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에서 종합청렴도 1등급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계약(의약품·의료기기 구매) ▲환자진료 ▲내부업무 ▲조직문화 ▲부패방지제도 등 5개 부문에 걸친 평가에서 종합청렴도 1등급을 획득한 기관은 전체 78개 기관(34개 국공립대학, 44개 공공의료기관) 중 서울대치과병원이 유일하다. 공공의료기관 종합청렴도는 의약품·의료기기 판매업체와 내부직원, 환자보호자, 이 · 퇴직자, 관리 · 감독기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점수를 산출한다. 올해 공공의료기관의 종합청렴도 전체 평균 점수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서울대치과병원의 경우 지난해보다 종합점수가 높아져 전 직원이 함께 노력한 점을 인정받았다. 구영 원장은 “서울대치과병원이 최고의 실력으로 최상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 직원이 청렴과 준법정신을 가지고 헌신적인 자세로 봉사함으로써 국민들이 신뢰하는 치과병원이 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모든 직원들의 협조와 노력으로 종합청렴도 1등급을 획득한 것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민석 상임감사도 “교직
서울대치과병원 이종호 교수(구강악안면외과, 사진)가 지난 16일 서울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열린 제48회 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국민건강 증진과 보건의료분야 발전에 헌신한 공로로 홍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주관한 이날 행사는 당초 지난 4월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돼 금번 여러 보건의료인 관계자들이 함께 모이는 기념행사 대신 유공자 포상 전수식으로 축소 진행됐다. 수훈자인 이종호 교수는 구강암 및 악안면 결손환자 진료와 연구를 통해 구강영역의 미세수술과 재건분야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시켰을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로 의료기기 임상시험센터를 도입해 의료기기 임상시험 활성화와 산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근정훈장은 공무원으로서 직무에 정려하여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5개 등급으로 나눠지는데, 옥조근정훈장은 3등급에 해당한다. 이종호 교수는 "보건의 날을 맞아 정부가 구강암 재건분야에도 관심을 보여주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며 국내 치의학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보건의 날'은 국민 보건의식을 향상시키고 보건의료 및 복지 분야 종사자들을 격려하기
경희치대 치과교정학교실(주임교수 김성훈)이 주관하고 경희치대 치과교정학교실 동문회(동문회장 노상호)가 후원한 제4회 International Scientific Orthodontic Forum-‘A new leap into sleep-related orthodontics’가 지난 13일 국내 500여명, 미국 싱가폴 호주 등 해외 24개국에서 200여명의 치과의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줌 웨비나를 이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성황리에 열렸다. 이날 포럼에선 Stanford 대학의 Stanley Liu 교수, Brasilia 대학의 Jorge Faber 교수, Sydney 대학의 Ali Darendeliler 교수, Harvard 대학의 Umakanth Katwa 교수 그리고 경희대 김수정 교수가 차례로 강연에 나섰고, 강연이 진행되는 동안 전세계에서 참가한 치과의사들은 채팅창을 통해 연자들과 끓임없이 질의 응답을 이어갔다. 강연이 모두 끝난 후에는 다섯 명의 연자들이 live QnA에 나서 참가자들의 질문에 답했고, 동시에 OSA 치료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펼치기도 했다. 이날 답하지 못한 질문들에 대해선 연자들이 직접 작성한 답변을 경희치대 치과교정학교실 공식
연세치대 신지원(본과 2학년, 제1저자), 최영진(본과 4학년, 공저자) 학생이 스승인 김종은 교수, 이근우 명예교수와 함께 참여한 논문 ‘Evaluation of the color stability of 3D-printed crown and bridge materials against various sources of discoloration : An in vitro study’가 지난달 Materials 저널(Impact factor : 3.057)에 게재됐다. 최근 3D 프린팅이 치과계에서도 새로운 디지털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에도 3D 프린팅 레진을 이용한 수복물의 색조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각 재료의 수분 흡수도, 용해도, SEM 사진과 변색원에 침적 시 색 변화를 측정해 기존 CAD/CAM 블록과 3D 프린팅 레진의 색 안정성을 비교해 유의한 결과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연세치대는 학생들의 연구능력 향상을 목표로 학생 시절부터 연구에 참여하고 논문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매년 학생연구팀 10팀을 선정해 각 3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학생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신지원
경희의료원(의료원장 김기택)이 환자들의 편리한 병원 이용을 위해 환자용 모바일 앱을 구축하고 12월부터 본격 가동했다. 이번에 구축한 어플리케이션은 ▲병원일정 알림 서비스 ▲진료예약 및 변경 ▲모바일 진료카드 ▲환자 본인 진료내역 확인 ▲모바일 진료비 결제 ▲입·출차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경희의료원 정보전략실은 '모바일 서비스 확대를 통한 환자 편의 증가와 인터넷 예약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통한 업무 효율성의 도모'를 도입배경으로 꼽았다. 김기택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이번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으로 환자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병원으로 발돋움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질환별 서비스 확장을 통해 언택트 시대의 진료도우미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희의료원 모바일 앱은 안드로이드 구글 Play 스토어와 애플 앱 스토어에서 ‘경희의료원’을 검색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 유튜브(https://youtu.be/x86oDyTbFdU)를 통해서도 모바일 앱 설치 및 활용을 안내 받을 수 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병원장 조봉혜)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2019년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에서 2년 연속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보건복지부는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수립한 계획을 심의하고 계획에 따른 추진실적 결과를 평가해 오고 있는데, 이번 평가는 전국 222개 공공의료기관 중 2019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를 제출한 189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는 공공성 강화, 양질의 적정진료, 건강안전망, 미충족서비스 등 4개 영역에서 진행됐으며, 부산대치과병원은 모든 영역에서 우수한 점수를 획득해 그룹평균 80.0점에 비해 월등히 높은 총점 91.4점을 획득했다. 조봉혜 병원장은 “본원은 앞으로도 지역의 현황과 요구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공보건의료 사업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권역 내 유일 치과대학병원으로서의 책무를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병원장 서병무)이 보건복지부 주관 2019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평가 특수질환분야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국립대학병원, 지방의료원, 특수질환병원, 노인병원 등 공공병원 189개소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이번 평가에서 장애인치과병원은 공공성 강화, 양질의 적정진료, 건강안전망,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등 4개 영역 각 25점씩 총 100점 가운데 각 평가 영역별 24.3점 이상을 받아 총점 97.4점(그룹평균 80.0)으로 최우수 평가 등급을 받았다. 평가 등급은 최우수 90점 이상, 우수 80~90점, 양호 70~80점, 보통 50~70점, 미흡 50점미만으로 구분한다. 장애인치과병원은 특히 타 치과병원 대비 공공보건의료의 세부사업을 차별화하고, 외부기관과의 지속적인 연계로 취약계층 및 저소득층 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의료비 감면’과 ‘치과치료비 지원 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구강보건 교육사업’이 주요 공적으로 꼽혔다. 서병무 병원장은 “2018년 실적 평가결과 의견을 적극 수용하여 공공의료사업의 SWOT분석을 포함한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약점, 위협들의 요소들을 발전적인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했다”면
연세치대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김광만 주임교수<사진 왼쪽>와 권재성 조교수<오른쪽>가 지난 11일 세계적 화장품 기업인 '러쉬'와 영국 비영리단체 ‘윤리적 소비자연구소’로부터 러쉬 프라이즈 특별상을 수상했다. 두 수상자는 2013년부터 의료기기 분야 동물대체시험법 국제공동연구팀(MD-IV-IT, The Medical Device In Vitro Irritation Team)의 일원으로 참여해 in vitro(시험관 내 시험) 방법에 의한 의료기기의 자극성 평가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10여개국 연구팀이 참여한 이 프로젝트에 한국에선 연세치대 치과생체재료공학연구팀이 유일하게 참가했는데, 5년여에 걸친 연구 성과가 2018년 ‘Toxicology in vitro’에 실린데 이어 2021년부터는 국제표준으로 등록돼 의료기기 인허가 과정에 본격 적용될 예정이다. 2009년부터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에 관심을 가져 왔던 치과생체재료공학 연구팀은 치수조직에 대한 치과재료의 생물학적안전성 평가를 in vitro로 수행하는 방법을 연구해 2016년 11월 당시 김미주 연구교수가 Asia 지역 Lush Prize Young Researcher 상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