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신흥이 오는 9일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임플란트 국제 심포지엄 'SID 2022'를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MythBusters: Controversies to Consensus'. 김현종 위원장은 "임상에서 논란이 되는 이슈들은 계속 있어 왔고, 이로 인해 임상가들은 갈등을 겪게 된다"면서 "어떤 부분에선 그런 논란이 정리돼 합의점에 이르기도 했지만, 차제에 이런 논쟁적 이슈들을 정리해 좀 더 명확하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보자는 의미" 주제 선정의 이유를 설명했다.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우선 섹션 1에선 ▲이정삼 원장의 '임플란트 보철 프로파일 자연치처럼?: 뒤탈 없는 디자인 정리'에 대해 김형섭 교수가 토론을 벌인다. 또 ▲박현식 원장의 '임플란트 오버덴쳐가 꼭 필요한 순간: 고수의 비법 전수'엔 김양수 원장이, ▲임현필 교수의 'IAPRD의 두려움 타파: 말썽없는 적용의 핵심'엔 정태욱 원장이 질문과 정리를 맡는다. 섹션 2에선 ▲'Maxillary sinus inside: 아는 만큼 보인다'(정의원 교수)와 ▲'Peri-implant update: 팩트로 극복하는 막연한 두려움'(정재은 교수)에선 이중석 교수가 토론을 이끌고
연세대학교 치의학교육원이 오는 8일과 22일, GBR의 실전 테크닉 임상 연수회를 갖는다. 'GBR을 더 쉽게'를 주제로 열릴 이번 연수회에선 치주과 정의원, 송영우 교수가 라이브서저리와 실습 및 강의를 담당한다. 이번 연수회에서 두 연자는 임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임플란트 골이식술 중 L-Technique, Reverse-Sandwich Technique, Umbrella Technique을 심도있게 다룰 예정. 먼저 8일(토) 오전의 라이브서저리에선 심미적으로 중요한 상악 전치부에서 임플란트 주위뿐 아니라 pontic 하방 치조제의 부피를 증대시킬 예정이다. 수술은 정의원 교수가 진행하며, 술 전 case presentation과 술 후 시술에 대한 토론이 진행된다. 라이브 서저리는 수술방의 공간적 제약에 따라 2명으로 등록 인원을 제한하는데, 대신 이들은 현장에서 직접 어시스트를 하며 배울 기회를 갖는다. 22일(토) 오후에는 선착순 20명을 대상으로 정의원 교수와 송영우 교수가 세가지 방법의 GBR테크닉에 대해 강의와 핸즈온을 진행한다. 책임 연자인 정의원교수는 “정통치주치료에 대한 개원가의 관심이 커지는 것을 반영해 임상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박인출 원장(상류치과)이 오는 24일(토) 오후 4시부터 문정동 레이102빌딩 4층 세미나실에서 Digital Hybrid Veneer 교정 세미나를 갖는다. 지난 7월에 이은 두번째 세미나에서 박 원장은 전치부 Crowding이 있는 경우 Veneer만으로 교정하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인데, Veneer 교정'에 대한 정의에서 부터 테크닉컬 노하우, Veneer 교정을 통해 병원 수익율을 높이는 상담 기법의 순으로 강의는 진행된다. 세부 강의 내용은 ▲Veneer교정: 전치부 Crowding이 있어도 치아교정없이 Veneer만으로 가지런하게 만들 수 있다 ▲Prep: Veneer 제작에 특화된 노하우 ▲Scan: 정밀한 구강 및 안면 스캔 ▲Design: 환자의 얼굴에 최적화된 디자인 ▲Milling: 심미&기능에 특화된 초정밀 가공 ▲Setting: 완성도 높은 정교한 세팅 등이다. 이어 'Management & Marketing' 시간엔 Frame잡기, 상담, Fee Setting, After Management, 고객 소개를 이끌어내는 방법 등이 소개된다. 박인출 원장의 Veneer 세미나는 지난 7월에도 준비된 강연장이 꽉 찰 정도로 큰
더불어민주당 서영석‧신동근 의원실과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가 공동 주최하는 '치과주치의 사업의 발전방향과 중앙정부의 역할 토론회'가 오는 21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열린다. 이날 토론회에선 경희치대 류재인 교수가 '치과주치의제의 현황과 정부의 역할'을, 경기도치과의사회 이선장 총무이사가 '치과의사가 바라본 학생추치의사업'을 제목으로 각각 발제에 나서며, 패널토의에는 강릉원주치대 정세환 교수를 좌장으로 치협 홍수연 부회장, 치위협 박정이 부회장,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한 치아건강 시민연대 김용진 운영위원,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변효순 과장이 참여한다. 관련 문의는 건치 사무국(02-588-6977)로 하면 된다.
경기도치과의사회의 GAMEX 2022가 오는 9월 16일(금) COEX에서 막을 올린다. '새로운 시작, 새로운 물결, 새로운 치과'를 슬로건으로 열릴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치협과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수교육점수 6점이 인정되며, 치협이 주관하는 3시간짜리 정책포럼도 함께 열린다. 학술 프로그램은 총 56개 강좌로 짜였다. 임플란트 주위염의 처치, screw loosening을 예방하는 보철, 쉽고 예지성 있는 GBR, 발치와 보존술, GP도 가능한 교정, 간소화된 신경치료, 컴플레인 없는 레진, 디지털, 턱관절 치료의 노하우 등 간단하고 쉬우면서도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임상 위주 강연이 주를 이루고, 알뜰하게 챙기는 보험청구, 세무포인트, 골프, 보디빌딩, 재테크 같은 강연들도 참가자들의 인기를 끌 전망이다. 필수과목 2점은 물론 매년 챙겨들어야 하는 법정의무교육은 토요일 오전으로 몰았다. 개인정보보호교육, 성희롱예방교육,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교육. 진료스텝과 함께 청강할 수 있는 이 세가지 교육만이라도 GAMEX에서 한방에 끝낼 수 있도록 배려한 것. 단 치과의사 등록비는 보수교육점수가 늘어난 점 등을 감안해 1만원
30주년을 맞은 연세치대 치과생체재료공학연구소(소장 권재성)가 오는 30일 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기념 세미나를 갖는다. 이날 행사는 1부 세미나(오후 3시 ~ 6시10분)와 2부 기념식 및 만찬(오후 3시 ~ 6시10분)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세미나에선 ▲2017/745 EU MDR에 따른 치과의료기기 인증 동향(엄수혁), ▲2017/745 EU MDR 의료기기 CE인증을 위한 치과의료기기 생체적합성평가 동향(문승균), ▲국내 치과의료기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지원사업(김형식), ▲캡슐형 치과용 아말감 보관 시 우리는 수은 증기로부터 안전한가?(김지은), ▲Osteogenic effect of porous hydroxyapatite scaffoid covered with 45S5BG/PLGA composite fibers in vitro(류정현), ▲치과접착의 최신지견(서병인) 등 6개 연제가 발표된다. 참석을 위한 사전등록은 19일까지이다.
대한여성치과의사회(회장 신은섭)가 주최하는 멘토 멘티 만남의 날 행사가 8월 27일(토) 오후 3시 오스템 마곡사옥 대강당에서 열린다. 이날 행사에선 대여치 회원들과 치과대학 치전원에 재학중인 여학생들이 참석해 멘토와 멘티로 소통하게 되는데, '나의 수련일지 -전공의의 알파에서 오메가까지'를 주제로 학생들에게 여러 전공과목 정보와 전공의 생활 그리고 전공을 마친 후의 생활에 대해 도움을 줄 예정이다. 서울대 다양성위원회 배유경 책임전문위원의 '공존의 미학 다양한 렌즈로 세상 읽기' 강연이 준비돼 있으며, 윤지영 이사의 사회로 진행될 강의 및 패널 토론에는 최성원 교수(국립암센터 구강종양클리닉 및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고수진 교수(노원을지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 김현수 원장(서울 SE치과), 김현실 교수(연세치대 구강병리학교실)가 참여한다.
인천광역시치과의사회(회장 이정우)의 INDEX 2022가 8월 20일부터 이틀간 송도 켄밴시아 신관 그랜드볼룸에서 열린다. 'Bio beyond Dentistry'로 주제로 개최될 이번 대회는 인천지부가 주최하는 첫 국제종합학술대회로, 치의학의 영역을 바이오 분야까지 확장하는 임상적 성과들이 소개될 예정이다. 강연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먼저 바이오 관련 강연으로 ▲Antonio Flichy Fernandez 교수(스페인)의 'The use of probiotics in the management of peri-implantitis and peri-implant mucositis' ▲민병무 교수(서울대)의 'Novel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itis by bioactive peptide' ▲이병진 원장(콩세알튼튼예방치과)의 'Limosilactobacillusreuteri 프로바이오틱스의 치과질환 치료 보조효과'가 준비돼 있다. 이어 임상강연으론 ▲Christian Makary 교수(레바논)의 'Implant', ▲천세영 원장(디지털허브치과)의 '인트라오랄 스케너 넌
치과의료정책연구원(원장 김영만)이 선정 주제를 놓고 지난 11일부터 접수를 받아 온 연구용역 연구자 공모가 오는 31일 마감된다. 연구 주제는 ▲치주치료 등의 적절한 보험금액 책정방법에 대한 연구, ▲OECD 가입국의 매복치 발치 평균수가 비교, ▲국·내외 매복치 발치 소송 사례 등 3가지이며, 연구비는 각각 1,500만원, 1,500만원, 1,000만원이다. 해당 주제에 대해 연구진행을 원하는 연구자는 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hpikda.or.kr)에서 연구계획서 양식을 다운받아 연구의 방법 등을 자세하게 기술,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와 함께 오는 31일까지 정책연구원 이메일(institute@kda.or.kr)로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정책연구원 홈페이지 참조.
박인출 원장(상류치과의원)의 'DIGITAL HYBRID VENEER 시크릿 세미나'가 23일 오후 4시 송파구 레이102빌딩 4층 세미나실에서 열린다. '치료부터 Management & Markting까지 한번에 핵심정리!'를 부제로 개최될 이번 세미나에서 박인출 원장은 CAD/CAM을 활용한 손쉽고 정교한 Digital Veneer 제작에서부터 맞춤형 세팅까지의 마법같은 시크릿 노하우를 대공개할 예정이다. 세부 프로그램은 Digital Hybrid Veneer 편은 ▲Prep: Veneer 제작에 특화된 노하우, ▲Scan: 정밀한 구강 및 안면 스캔, ▲Design: 환자의 얼굴에 최적화된 디자인, ▲Milling: 심미 & 기능에 특화된 초정밀 가공, ▲Setting: 완성도 높은 정교한 세팅을, Management & Marketing 편은 ▲Frame 잡기, ▲상담, ▲Fee Setting, ▲After Management, ▲고객소개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제목으로 각각 구성돼 있다. 등록비는 5만원, 등록 및 문의는 02-3443-8959번으로 하면 된다. 다음 세미나로는 '레이덴트와 박인출의 개원사관학교 -개업할 것인가,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