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노년치의학회가 오는 30일 오후 2시 SC컨벤션 아이리스홀에서 '한국형 구강노쇠 진단기준 개발 및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날 공청회에선 ▲아주대 의대 이윤환 교수 (노쇠의 개념과 임상적 중요성)와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고홍섭 교수 (구강노쇠의 개념과 지역사회 노인 구강건강 관리체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고민정 선임연구위원 (근거 기반 구강노쇠의 진단법과 관리 방안), ▲연세대 치위생과 김남희 교수 (빅데이터 기반 한국 노인의 구강건강 및 구강 기능 실태), ▲아주대 치과병원 강정현 진료조교수 (델파이 합의 기반 한국형 구강노쇠 진단 기준 및 관리방안에 대한 제언), ▲가온연구소 김헌경 소장 (일본의 구강노쇠 제도 급여화 현황과 지역사회 구강노쇠 관리 체계), ▲연세치대 정회인 조교수 (해외 노인 구강건강 관리 제도 및 구강노쇠의 실제적 적용 사례와 국내 활용 방안 및 제언)가 주제 발표에 나선다. 또 발표 후에는 노홍인 객원교수(서울대 의대), 김선영 조교수(경희대 의대), 고석민 회장(대한노년치의학회), 마득상 교수(강릉원주대 치과대학), 박영채 원장(치협 치과의료정책연구원), 김미경 사무총장(한국부인회총본부), 황윤숙 교수(한양
수원시치과의사회(회장 안윤표)가 경기도치과의사회관 2층에 '한가족센터'를 열고, 지난 13일 개소식을 가졌다. 한가족센터는 구 한가족치과진료소를 리모델링해 봉사와 학술, 회원복지 등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꾸민 공간이다. 이날 개소식에는 안윤표 회장 등 수원분회 임원진과 전성원 경기도치과의사회장, 김정석 경기치과의사신협 이사장, 권명희·이현미·심평수 보건소장, 손문락 국민건강보험공단 수원서부지사장, 조정철 수원동부지사장, 김지훈 수원시의사회장, 김달호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교감, 이은주 경기간호학원장, 김정식 꿈을키우는집 대표이사 등 유관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안윤표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많은 분들의 따뜻한 지지와 협력 속에 한가족치과진료소가 시대의 흐름과 회원들의 요구에 맞는 공간으로 개조되었다"면서 "앞으로 한가족센터는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센터는 물론 교육세미나 강의실, 각종 소모임 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구 한가족치과진료소 창립자인 박흥식 원장도 개소식에 참석해 "처음 한가족치과진료소를 설립할 때의 초심을 잃지 않고 이 사업이 유지되길 바란다”며 “진짜 한 가족이라는 마음으로 봉사하고 최선의 지식과 경험
경기도치과의사회(회장 전성원)가 올해도 치과진료봉사에 나섰다. 지난 16일 동두천치과의사회(회장 신영주, 이하 동두천분회)와 함께 연천군 백의초등학교를 찾은 것. 경치는 앞서 경기도 관내 보건교사협의회를 통해 의료봉사 장소 신청을 받았는데, 신청 학교 중 연천군에 위치한 백의초등학교는 인근에 치과 병ㆍ의원이 없는데다 한부모 또는 맞벌이 가정인 경우가 많아 학생들이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해 검진을 받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날 경치 전성원 회장과 이선장 부회장, 김여경 부회장, 박인오 총무이사, 김광현 치무이사, 최근호 학술이사, 신준세 자재이사, 임재훈 정보통신이사, 강석주 국제이사 그리고 동두천분회 신영주 회장과 김태우 총무이사, 김은경ㆍ정선아 치과위생사로 구성된 의료봉사단은 학생 50여 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을 실시하고, 검진 후 세부 상담이나 진료가 필요한 학생들은 별도로 이동치과버스에서 스케일링과 불소도포 또는 간단한 치료까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학생들이 스스로 올바르게 구강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TBI 교육과 시청각 교육을 병행하고, 구강보건용품도 전달했다. 여기에 그치지않고 봉사단은 학교 강당에서 치과 관련 진로교육도 실시했는데, 교육
찬 바람 부는 계절이 오면서 30대 직장인 A씨는 입을 벌릴 때마다 나는 ‘딱, 딱’소리가 유독 심해진 것 같아 신경이 쓰인다. 밥을 먹거나 하품을 하는 등 입을 여는 동작을 하면 ‘달그락’소리가 나 불안감마저 든다. 뒤늦게 치과를 찾은 A씨는 ‘턱관절장애’ 진단을 받았다. 턱관절장애는 추운 날씨에 발생 빈도가 높아지기도 하는데,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정진우 교수는 “추운 날씨에 혈관 수축, 근육 긴장도 증가 등으로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라며, “생활 속 습관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정진우 교수와 턱관절장애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과 예방법 등을 알아보자. 턱관절장애란 턱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 근육 또는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대표적인 종류로는 관절원판(디스크)장애, 관절염, 근육장애 등이 있다. 턱관절장애의 발병률은 매우 높은 편인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턱관절장애 환자는 2015년에서 2019년 사이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전체 인구 3명 중 한 명 정도가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턱을 전후좌우로 움직일 때, 또는 음식을 씹을 때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두경부 통증을
2023년 대한여성치과의사회(회장 신은섭) 학술대회가 오는 26일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2층 대강당에서 열린다. 개회식에 이어 오전 9시 20분부터 시작될 강연에는 ▲영상소견 리퍼 할까 말까? (연세대 전국진 교수), ▲치과에서 하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 (서울대 조정환 교수), ▲재근관치료.. 할까 말까 이것이 문제로다 (조선대 황호길 교수), ▲치과적 응급상황의 진단과 치료 (단국대 유태인 교수), ▲임플란트 합병증의 이해 및 대처 (서울H치과 전인성 원장), ▲일잘러 원장님을 위한 최신 치과 건강보험 (방배본치과 강호덕 원장) 등이 준비돼 있다. 행사는 포스터 시상 및 경품 추첨과 함께 오후 5시에 모두 끝이 난다.
제90회 대한치과보철학회 학술대회가 온라인 사전강의에 이어 오는25~26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치과보철학 난제해결을 위한 다각적 접근 (Prothdontics and beyond)'를 대주제로 열린다. 오프라인 학술대회는 25일(토) 구연발표와 여송신인학술상 발표로 시작된다. 이어 13시 30분부턴 두 강연장에서 ▲패널 디스커션Ⅰ(우리나라 청장년을 위한 임플란트 심미 보철치료 전략: 좌장 노관태), ▲Ⅱ(개원가에서 가능한 20년 예후의 보철 치료계획: 좌장 성무경)와 ▲심포지엄Ⅰ(우리나라 노년층을 위한 임플란트 가철성 보철치료 전략: 좌장 허중보) 그리고 ▲제네바 대학 Irena Sailer 교수와 Vincent Fehmer 마이스터의 사전강의를 리뷰하는 스페셜 렉처 Q&A Ⅰ(좌장 최유성)이 각각 진행된다. 둘째날인 26일(일)에는 4편의 심포지엄과 스페셜 렉처Ⅱ그리고 '치과의사로서 느리게 나이들기'를 주제로 한 기획 프로그램 'Let,s talk'가 참가자들을 맞는다. 영어로 진행될 스페셜 렉처Ⅱ(좌장 이현종)엔 Dr. Kerstein가 직접 참가해 김재영·백장현 교수와 함께 그의 교합 이야기를 풀어낸다. 심포지엄은 더욱 다양한 주제로
제22회 대한기초치의학 학술대회가 오는 24일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6층 대강당에서 열린다. 이날 대회는 김경년 대한기초치의학협의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다섯개의 Session이 진행될 예정인데, 첫번째 세션(좌장 김희진)에선 ▲최유진 교수(건국대 의대)의 'Intramuscular nerve distributions of digastric muscle using Sihler’s staining'와 ▲이동준 교수(단국대 치대)의 'MAST4: regulator of stem cell maintenance'이 참가자들을 맞는다. 또 두번째 세션(좌장 박혜련)에선 ▲일본 Tokushima대학 Yasusei Kudo 교수가 '•Molecular mechanism of Oral cancer progression'를 제목으로 강연할 예정. 이어 세번째 세션(좌장 홍성두)에선 ▲이지혜 교수(부산대 치전원)가 'Insights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in Deciphering the Pathophysiology of Oral Disease'를, ▲임재열 교수(연세대 의대 이비인후과)가 'Therapeutic Applicat
‘재료를 선택하는 기준’ DVmall(www.dvmall.co.kr)이 오는 12월 10일 개최되는 대한치의학회 학술세미나 사전 등록을 접수 중이다. 지난 6일부터 시작된 치의학회 학술 세미나 사전등록은 12월 4일까지 이어지는데, DVmall에서 등록 할 경우 ‘건강한 치과를 만드는 행복 체험’ DV Point 10,000P 적립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등록비는 사전 등록이 7만원, 현장 등록은 9만원이다. 치과의사 보수 교육은 필수보수교육 2점을 포함하여 총 4점을 받는다. 이 날 강연장 앞에는 DV World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외에도 DVmall에서 사전 등록을 받는 학술대회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제14회 SID 2023을 비롯해,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학술대회, 대한여성치과의사회 학술대회 등은 강연장 수용 인원을 초과해 조기 마감됐으며, 공직치과의사회 종합학술대회도 사전등록을 진행중이다. DVmall 관계자는 “DVmall에서 사전 등록 시 ‘건강한 치과를 만드는 힘’ 덴탈비타민의 메일링 서비스 홍보 효과와 DV Point 적립 혜택이 조기 마감 행진에 도움이 된 것이 아닌가 싶다”며 “대한치의학회 학술세미나 사전 등록 혜택도 도움이 되
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총회장 황윤숙, 이하 의기총)가 지난 15일 대한안경사협회 교육센터에서 황윤숙 총회장과 의기총 구성 8개 단체장 및 보건복지부 오상윤 의료자원정책과장, 전재진 국회의장 정무특보, 각 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회 보건의료기사의 날 기념식’을 가졌다. 이날 황윤숙 총회장은 기념사에서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고 보건의료환경 변화에 따른 질 높은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필수"라고 전제하고, "이를 위해 의기총은 올 한해 학생들의 현장실습 이수를 의무화토록 하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안' 개정에 주력해 성과를 냈다"면서 "앞으로도 의기총은 보건의료기사들이 맡은 소임을 다할 수 있도록 든든한 지원자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윤 의료지원정책과장도 축사를 통해 "올해 의료기사법 개정 과정에서 의기총과 많은 소통이 있었고, 이후 하위 법령과 규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도 긴히 의견을 나눌 계획"이라며, "보건의료기사의 구심점으로서 의기총이 앞으로도 많은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기념식은 이어 의기총과 소속 단체의 활동을 정리한 2023년 활동보고 영상을 시청한 다음 국민 건
국립치의학연구원(이하 치의학연구원) 설립 관련 예산 항목이 처음으로 보건복지위원회 수정예산안에 반영됐다. 국회 보건복지위는 지난 8월 전체회의에서 가결된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위한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의 후속 조치로 지난 14일 오전 열린 전체회의에서 치의학연구원 설계비 2억원이 포함된 2024년 수정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지난 9일의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서면 질의를 통해 해당 예산 반영의 필요성을 강조한 데 따른 것이다. 치의학연구원 관련 예산 항목이 이처럼 정부 예산안에 공식 명기됨에 따라 이번 예산안은 법제사법위원회 등 향후 국회 논의·의결 과정에서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예산안은 오는 12월 초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치과계는 국내 치과재료산업이 생산액(2022년 기준) 3조 3,274억 원으로 전체 보건의료산업 생산액의 21.1%를 차지하고, 수출액 또한 1조 1천억 원으로 10.8%를 차지할 만큼 급성장 했음에도 여태 국립치의학연구원이 없어 치과 R&D 연구비 비중에서 차별을 당하는 등 치의학 및 관련 산업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