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스펙병원교육개발원(대표 김민정, 이하 브레인스펙)은 오는 11월 5일 '직원들은 왜 치과를 떠나는 걸까'를 주제로 개원가의 고민을 한데 모아 해결 방법을 제시할 계획이다.브레인스펙 측은 "가족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직장동료들의 이직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인간적 갈등"이라고 정의하고 세미나를 통해 직접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자고 밝혔다,아무리 좋은 원장이라도 ‘원장은 원장’이라는 말이 있다. 어쩌면 가족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강의는 김민정 대표가 직접 나서 △직원들은 왜 치과를 떠나는 걸까 △가장 좋은 해결책은 무엇일까 △원장과 직원의 상생 방법에 대해 알린다. 이 시간을 통해 직원들이 소속된 치과에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일하게 만드는 방법, 전 직원이 함께 즐거운 일터를 만드는 방법 등을 소개한다.브레인스펙 관계자는 “강연은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시간을 통해 감정의 문제,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았던 부분을 점검하길 바란다"고 전했다.세미나 등록 및 문의는 브레인스펙 홈페이지(www.brainspec.co.kr)와 전화(010-3618-2080)로 하면 된다.
대한치과교정학회(회장 경희문)의 '제55차 정기 총회 및 50회 기념 국제학술대회'가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50번째 학술대회를 기념하며 치러지는 이번 행사는 33개국 200여명의 외국인 참가자를 포함해 사전등록 2,600명을 기록했다.이에 교정학회는 지난 1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28일부터 3일간 펼쳐지는 국제학술대회에 대한 준비사항을 알렸다. 학회 측은 "이미 치과교정학계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교정진료에 대한 다양한 지견을 나누고 학문적 성장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학술대회의 취지를 밝혔다.'Reflecting on the past half century, imagining the millennium'를 주제로 오는 진행되는 학술행사는 'TAD in Korea and multi-dimensional tooth movement in 2017'을 주제로 Pre-congress와 특강 Ⅰ, Ⅱ, Ⅲ, 특별세션, '제1회 한-중 조인트 심포지엄'까지 이어진다.가장 먼저 진행되는 'TAD in Korea and multi-dimensional tooth movement in 20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김영균, 이하 이식학회)의 ‘2017년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15일 서울대치과병원 8층 대강당에서 열렸다.학술대회 주제인 ‘임플란트 실패는 어디서 왔을까?’에 대한 임상가들의 관심도를 확인하듯 첫 번째 강연부터 200석 이상이 채워지며 강연의 집중도를 높였다. 김영균 회장은 “임플란트 술기는 지속적인 연구 및 임상경험을 통해 발전되며 경험이 축적되면 대부분의 치과의사들이 양질의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번 추계학술대회 주제인 ‘임플란트 실패는 어디서 왔을까’는 임플란트 진료 시 실패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실천할 수 있도록 임상적 견해를 듣는 시간을 마련했다”며 학술대회의 취지를 밝혔다.이식학회 추계학술대회는 임플란트를 가장 쉽게 구분하고 임상 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계획됐다. session 1은 ‘심을때’를 주제로 최병준(경희치대) 교수가 ‘임플란트실패: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에 대해 강연했다. 최 교수는 불가항력적으로 임플란트가 실패하는 경우에 어떻게 진료를 이어나가는지에 대해 해석했다. 이어 김기성(남상치과) 원장은 ‘임플란트 실패를 줄이는 임플란트 제대로 심기’를 주제로 surgical guide를 살
학회 창립 45주년을 맞은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서봉직, 이하 구강내과학회)가 오는 28일과 29일 연세대 치과병원 7층 강당에서 열리는 추계학술대회를 통해 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하고 미래를 위한 발전 방향성을 논의할 계획이다. 추계학술대회는 ‘구강내과학 45년 – 열정과 연륜으로 구강내과의 미래를 논하다’를 대주제로 삼았다.서봉직 회장은 “추계학술대회가 구강내과학의 학문과 임상을 평가받고 새로운 목표를 전망하기 위한 시간으로 채워지길 바란다”면서 “학술강연 등을 통해 구강내과학의 최신지견을 공유하고 구강내과학의 미래를 그리는데 많은 임상가들이 함께 하길 바란다”며 학술대회의 의미를 밝혔다.학술대회는 4가지 session과 Satellite session시간을 채워진다. Session1은 전공의증례, Session 2은 ‘최신 구강내과학 업데이트 Ⅰ’에 대해 김성택(연세치대) 교수가 ’이갈이 및 하악운동이상증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 강수경(경희치대) 교수는 ’금연지료의 이론 및 적용 방법’에 대해, 유지원(조선대) 교수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임상적인 부분을 정리한다.특별히 마련된 Satellite session 시간에는 ‘
대한민국 치주학의 우수성을 재확인 시킨 학술대회가 지난달 22일부터 24일까지 더케이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제12회 아시아-태평양 치주과학회 학술대회(회장 Yulianti Kemal 인도네시아, 조직위원장 구 영, 이하 APSP) 및 제57회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최성호) 종합학술대회’는 아시아와 대한민국의 치주 관련 진료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그 성과로 300여명의 외국인 참가자를 포함해 1,100여명이 함께 하며 올해 열린 치과계 국제 학술행사 중 규모와 행사내용면에서 완성도를 높였다.20년간 두 번의 행사 ‘성공으로 이끌다’APSP는 2년마다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치주과학의 축제다. 한국에서는 1997년 첫 번째 개최이후 2번째 개최되는 행사로 성공적인 대회로 이끌기 위해 조직위원회는 1년 반 이상준비기간을 가졌다. APSP는 ‘아시아 구강보건 수준향상 및 치주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글로벌 리더로서 이번 대회를 통해 아시아지역 구강보건수준향상의 견인차 역할과 학술연구와 임상에서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주력했다.구영 조직위원장은 “1993년에 창립한 APS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치주과학을 연구하고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가 지난달 23일 연세대치과병원에서 ‘골다공증 약제와 관련한 악골괴사증의 다학제간 역할과 치료’를 주제로 추계학술집담회를 진행했다.김철환 이사장은 학술집담회에 대해 약물관련 악골괴사(MRONJ)와 관련해 치의학과 의학 직역에서의 책임감 있는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번 주제로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며 더 많은 관심을 부탁했다. 강연은 두 개의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은 ‘Medical consideration’을 주제로 의학 분야의 현주소를 살폈다. 강의는 문영철(이대목동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oncologist의 입장에서 관련 약물 기능과 적용에 대한 설명과 구강악안면외과와의 협진 사례를 소개했고, 이연아(경희대 류마티스내과) 교수가 다양한 골다공증치료 약제에 대한 소개와 함께 류마티스 질환에서 골다공증 약제사용 및 류마티스 약물이 골괴사증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렸다. 김영훈(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정형외과 영역의 골괴사증을 소개하고, 골괴사증이 구강악안면영역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확인시켰다.두 번째 세션은 ‘Dental consideration’을 주제로 권대근(경북대학교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회장 정성화, 이하 KAO)가 오는 11월 12일 연세대 ABMRC에서 ‘2017 추계학술대회’를 앞두고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추계학술집담회는 임플란트와 관련한 임상적 지견을 정리하는 시간으로 치주, 외과, 보철적 치료에서 난제에 대한 해결법을 제시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AO 측은 추계학술대회에 대해 명훈 학술이사는 “임상에서 누구나 만날 수 있는 난제를 강연으로 정했다. 치주염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골결손부, 골다공증 환자, 임플란트 보철 시 난제에 대해 KAO 학술대회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겠다”면서 추계학술대회에 많은 임상가들이 함께해주길 부탁했다.학술대회는 3개의 주제 세션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은 치주를 주제로 김성태(서울대) 교수가 ‘치주졍 환자를 위한 임플란트 치료 가이드라인’에 대해, 김영택(일산병원 치주과) 교수가 ‘치주병으로 인한 심한 골결손부의 극복 – Part Ⅰ. 수평적 골결손부의 극복’을 주제로 강의하고, 이어 방은경(이화여대) 교수도 ‘치주병으로 인한 심한 골결손부의 극복 – Part Ⅱ. 수평적 골결손부의 극복’에 대해 발표한다.두 번째 세션은 전신질환과 관련한 난제에 대
턱관절장애교육연구회가 주최하고 김욱(TMD치과) 원장이 이끄는 ‘턱관절 One-Day 세미나’가 오는 22일 퇴계로 삼선빌딩 4층 세미나실에서 진행된다. 매회 만석을 기록하며 인기리에 진행 중인 이 세미나는 어드밴스 코스로 실습위주의 집중 교육이 진행된다.강의는 ▲측두하악장애 진단분석검사 실습 ▲턱관절 덴탈 콘빔 CT 판독 및 청구 강의 ▲교합안전장치 구강 내 장착 및 장치 교합 조정 실습 ▲물리치료장비 사용법 데모 및 시연 ▲양측 교근 및 축두근에 보톡스 주시 실습 ▲상병 및 증례병 진단 및 치료계획 강의 ▲턱관절 환자의 구강내과 및 구강외과적 치료 강의 ▲턱과절 환자 2단계 교합 치료 강의를 주제로 진행된다.이번 세미나는 30명 선착순 마감이며, 등록은 의정부 TMD치과(031-841-2875)로 하면 된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박동성, 이하 근관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대주제는 ‘근관치료 분야의 난제 해결 – 의학적, 치의학적 질병 연관 증례(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in Endodontics)’로 국내외 연자들의 임상적 소견과 근관치료와 전신질환의 관련성을 확인할 계획이다.학술대회 첫째날 강의는 감명환(서울대치과병원 마취과) 교수가 ‘Non odontogenic toothache’을 주제로 강의하고, 송재권(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심내막염 최신지견’에 대해, 김선종(이대목동병원) 교수가 ‘약물관련턱뼈괴사증 Management 현재와 미래’에 대해 강연한다.학술대회 둘째 날은 대강당과 소강당에서 진행될 예정으로 Prof. Giuseppe Cantatore (University San Raffaele)가 ‘Evolution of NiTi Files: From PathFiles to ProGliders andfrom ProTaper Universal to ProTaper Gold’를 주제로 강연한다.이어 김의성(연세치대) 교수가 ‘Evaluation of surgical treatment outcome: Primary and Re-s
대한통일치의학회(회장 김종철)가 10월 19일 오후 3시부터 서울대치의학대학원 본관 121호에서 창립기념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창립기념 학술대회의 주제는 ‘통일치의학의 출발과 발전방안’으로 남북 구강보건 의료의 통합적 이해 확대와 지속 가능한 북한 구강보건의료 협력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통일치의학회는 지난 8월 14일 공식 출범 후 갖는 첫 번째 학술행사로 엄종식 통일부 전 차관이 ‘통일을 위한 남북 구강보건의료의 통합적 접근’을 주제로 강연을 시작한다. 이어 이수구(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전 총재는 ‘통일로 가는 길은 어렵다. 그러나 급하다. Why?’에 대해 소개한다.또 이승표(서울대 통일치의학협력센터) 센터장은 ‘통일과 치과의사: 미래를 준비하다’에 대해, 신덕재(열린치과의사회) 고문이 ‘북한이탈주민 구강보건 실태 및 개선’을, 최치원(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이 ‘대한치과의사협회의 대북 사업과 미래’에 대해 알린다.학회 측은 “최근 새 정부의 남북교류 활성화 정책으로 학술 분야의 교류협력 확대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는 가운데 치의학계에도 남북 치의학에 대한 연구 및 교육, 학술활동과 학문적 교류를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학술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