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1 (금)

  • 맑음동두천 15.8℃
  • 맑음강릉 17.1℃
  • 맑음서울 18.8℃
  • 맑음대전 17.4℃
  • 맑음대구 17.7℃
  • 맑음울산 16.8℃
  • 맑음광주 19.5℃
  • 맑음부산 20.4℃
  • 맑음고창 16.4℃
  • 맑음제주 20.2℃
  • 맑음강화 16.6℃
  • 맑음보은 13.4℃
  • 맑음금산 15.0℃
  • 맑음강진군 16.2℃
  • 맑음경주시 16.6℃
  • 맑음거제 16.8℃
기상청 제공

"치아교정, 치료 후 관리도 중요해요~"

[치과이야기] 안정섭 교수와 알아보는 교정치료 후 관리의 중요성


 

중학생 자녀를 둔 A씨는 요즘 치아교정 치료를 다시 알아보는 중이다. 1년 전 교정 치료를 끝낸 자녀의 치열이 다시 비뚤어졌기 때문. 교정 치료를 한번 받고 나면 더이상 신경 쓸 일이 없을 줄 알았는데, 다시 교정 치료를 받아야 할 수도 있다는 사실 때문에 걱정이 많아졌다.
A씨의 자녀와 같이 치아교정 치료 이후 관리 소홀 등의 이유로 재교정 치료를 받는 비율은 5% 정도로 알려져 있다. 재교정 치료를 받을 경우 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만큼 교정된 치열을 적절히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은 서울대치과병원 치과교정과 안정섭 교수와 치아교정 치료 이후의 유지‧관리법에 대해 알아본다.

 

교정 치료 후 관리가 필요한 이유
치아를 이동시키면 잇몸뼈가 부위에 따라 흡수 또는 형성되고 치아를 잇몸뼈와 연결해 주는 조직 일부도 와해된다. 교정 치료 직후에는 잇몸이 치아를 단단히 지지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잇몸 구조라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작은 힘에도 치아 배열이 흐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치아를 지지해 주는 잇몸조직이 재구성될 때까지 치아의 위치를 잡아줄 필요가 있다.
또,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배열하면 치아와 연결된 잇몸의 섬유들이 원래 길이보다 늘어나면서 치아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자 한다. 그래서 섬유들이 적응할 때까지 치아의 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안정섭 교수는 “특히, 성장기 환자의 경우 턱의 성장에 따라 치아 배열이 미세하게 바뀌며 적응해 나가는 과정이 수반된다”라며, “이때도 치열이 흐트러지거나 교합 관계가 변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유지장치의 종류
교정 치료를 통해 얻은 가지런한 치아 배열과 좋은 교합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치료 후 ‘유지장치’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치는 앞니의 안쪽에 부착하는 ‘고정식 유지장치’와 환자가 탈착할 수 있는 ‘가철식 유지장치’다. 유지장치는 환자가 가졌던 부정교합 및 환자의 치료 후 상태에 맞게 디자인해 제작된다.

 

 

고정식 유지장치는 교정 치료를 종료하기 전 또는 직후에 얇은 철사를 앞니 안쪽에 부착하는 것으로,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특히, 교정 치료를 종료한 직후, 앞니 치아 배열은 흐트러지기 쉬워 고정식 유지장치로 치열을 유지한다.
가철식 유지장치는 고정식과 달리 환자가 원할 때 탈착이 가능한 장치다. 교정 치료 종료 후 보통 3개월 정도는 식사나 양치할 때를 제외하고 자는 시간까지 포함해 거의 온종일 사용해야 한다. 이후, 환자 상태에 따라 잠을 잘 때 착용하는 등 사용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일반적인 가철식 유지장치는 치과용 플라스틱 재료와 철사로 이뤄져 있어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이 쉽게 알 수 있다. 이런 점이 부담스럽다면 투명 가철식 유지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만, 투명 유지장치는 장기간 사용 시 착색이나 변색으로 인해 보기에 좋지 않게 되고 깨지거나 구멍이 나는 등 내구성이 떨어져 수개월에 한 번 재제작이 필요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유지장치의 이용 기간
고정식 유지장치를 언제까지 부착해 둬야 할지, 가철식 유지장치는 언제까지 사용해야 할지에 대해 명확한 정답은 없다. 하지만 치아 위치가 원래대로 되돌아가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교합 관계가 변하는 등 우리가 흔히 ‘재발’이라고 부르는 부정교합으로의 회귀 현상은 일정 기간에 적극적 유지관리를 통해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성장기 환자는 잔여 성장기 동안 적극적 유지관리가, 성인기 환자도 최소 1년 이상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유지장치의 관리
고정식 유지장치는 치아에 부착돼 있어 환자가 임의로 제거할 수 없다. 처음에는 다소 이물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대개 조기에 적응해 거의 불편감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착용에 신경 쓸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강위생 관리가 소홀할 경우 장치 주변에 음식물이 남아 치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타액이 나오는 부분이 인접한 아래 앞니 유지장치 주위에 치석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양치질 시 꼼꼼히 닦아줄 필요가 있다.
고정식 유지장치 철사는 탄성이 있고, 잘 변형되지 않아 일상생활 및 식사 시 망가지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지나치게 단단한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 강한 외력에 철사가 탈락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고정식 유지장치가 부착된 부위는 치실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잘못 사용해 철사에 무리한 힘을 주게 되면 장치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안 교수는 “시중에 유지장치가 부착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치실이 판매되고 있어, 치과의사의 안내를 받아 치실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라며, “고정식 유지장치에 발생한 문제는 치아 배열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을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가철식 유지장치가 손상됐거나 분실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장치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거나 잘 맞지 않다고 느껴질 때는 치과의사를 찾아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장치의 수리 또는 재제작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
가철식 유지장치를 착용한 채로 식사를 하면 장치가 망가질 우려가 있으므로 장치를 빼 두는 것이 좋다. 그러나 예를 들어, 외식할 때 남들의 시선이 부담스러워 빼놓은 장치를 티슈 등으로 감싸둔 채 식사하다가 깜빡하고 장치를 분실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장치에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고 분실 또한 방지하기 위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전용 통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좋다.
가철식 유지장치의 세척에 대해 안정섭 교수는 “장치를 적절히 세척하지 않을 경우 가철식 유지장치에도 치석이 부착될 수 있어, 칫솔을 이용해 장치를 주기적으로 닦아주는 것을 권장한다”라며, “치약을 사용해 장치를 닦으면 장치 표면이 마모되기 때문에 양치질을 하고 칫솔에서 치약을 헹궈 낸 뒤 가철식 유지장치를 닦아줄 것을 추천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장치를 소독하기 위해 뜨거운 물에 삶아도 되는지에 대해 안 교수는 “장치의 플라스틱 부분이 변형되어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라며, “시중에 교정용 유지장치 소독을 위한 세정제가 판매되고 있는데, 장치 디자인에 따라 특정 세정제를 사용하면 장치의 철사 용접 부분이 망가지는 경우도 있어 사용 전 치과의사에게 문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답변했다.

교정 치료 후 치아 관리
교정 치료 후 유지장치에 대한 관리를 제외하면 식습관 등 일상적인 생활에 큰 주의점은 없다. 다만, 주기적 치과 방문을 통해 교정 치료 결과가 잘 유지되고 있는지, 고정식 및 가철식 유지장치에는 문제가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 중 치과에 방문할 때는 가철식 유지장치를 지참해야 한다.

사람의 치아는 매일 식사 및 발음 등의 기능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외력을 받게 되며, 사용함에 따라 마모되고, 평생 생리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공들여 부정교합을 치료해 좋은 교합 관계를 얻었다 하더라도 이것을 잘 관리된 조각상처럼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안정섭 교수는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변화를 지연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유지장치를 잘 사용했다 하더라도 세월이 지나면서 치아의 배열은 조금씩 자연스럽게 변화한다”라며, “어떤 면에서는 노화의 과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덧붙여 안 교수는 “적극적 유지관리가 필요한 기간 이후에도, 가지런한 치열과 좋은 교합을 가능한 오래 유지하고 싶고, 유지장치의 사용에 익숙해져 크게 불편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같은 방식으로 계속해서 관리해 나갈 수 있다”라며, “하지만 유지장치 등이 너무나 불편해 삶의 질을 크게 해친다고 여겨질 때는 치과의사와 상의를 통해, 환자 본인이 치아 배열이 다소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유지장치 사용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안정섭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