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DEX는 치과계 최대의 종합 이벤트이다. 선물세트처럼 잘 차려진 학술 프로그램에 국내외 치과산업을 망라한 기자재전시회가 소비자들을 불러 모으고, 덩달아 치과인들의 숱한 만남들이 그 안애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SIDEX는 늘 빛난다. 적어도 치과계라는 공동체 내에서 SIDEX는 일년에 한번 각자의 공간에서 나와 손을 맞잡는 '광장'과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올해는 특히 서치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대회여서 구강보건의 날 기념행사까지를 더해 전체 규모가 훨씬 커질 전망이다. 따라서 COEX로 향하기 전 돌아볼 것, 들을 것들을 미리 계획하는 것이 좋다. 특히 학술 프로그램의 경우 시간대 별 수강 계획은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
대회 조직위는 31일(토) 전체 강연장에 대해 아침 9시부터 입장한 치과의사 2,150명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경품을 지급하는 얼리 버드 이벤트도 실시한다. 경품은 허먼리프임플란트, EMS코리아, 파스텔리코리아, 메디덴, 닥스메디, 퍼스트솔루션, 프로미엘, 큐라덴코리아, 덴티스테, 다이아덴트, 아딘폴리오 등에서 제공한다고 하니 기왕이면 조금 일찍 서둘러 '소소한 행복'에 도전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아래는 강연장별 SIDEX 2025 국제종합학술대회 학술 프로그램.
■ 31일(토)
▶컨퍼런스룸 E (영어동시통역)
[필수과목 - 의료윤리] 치과의사 자존감 지키기 프로젝트 I - 치과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 (김성헌 / 서울본치과)
[필수과목 - 약물] 항생제 및 처방 약물의 내성과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대안 (박원서 / 연세치대 통합치의학과)
[공동강연 – 구강악안면외과] 안전하고 스마트한 사랑니 발치
사랑니 발치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송승일 / 아주대학교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달인의 사랑니 발치 (Live) (조용석 / 조용석김세웅치과)
사랑니 발치의 합병증 (김형모 / 사랑이아프니치과 강남점)
▶401호(영어동시통역)
[공동강연] 2025 MRONJ KOREA POSITION PAPER OF KAOMS, KAMPRS, KES, KSBMR, KSO (MRONJ 업데이트: 한국 Position Paper) (최한석 / 동국대일산병원 내분비내과, 김재영 / 강남세브란스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공동강연 - 임플란트] 대한민국 임플란트, 그 미래를 말하다 (허영구 / 닥터허치과, 정성민 / 덴티움치과, 박광범 / 미르치과병원, 최규옥 / 트윈치과)
▶402호
[공동강연 - 치과보철과] 교합이 불리한 환자, 진단, 치료 그리고 관리까지
교합이 불리한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유지관리 (박찬진 / 강릉원주치대 보철과)
교합 붕괴 혹은 교합이 불리한 환자의 속 시원한 치료 해법 (장원건 / 마일스톤즈치과)
[치과보철과] 다양한 수복물에 알맞는 최신접착 프로토콜 (최유성 / 단국치대 치과보철과)
[공동강연 - 구강내과] 보이지 않지만 그래서 더욱 중요한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이해와 실제 (김혜성 / 사과나무치과병원)
구강내 감염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심영주 / 원광치대 구강내과)
▶300호
[100주년 기념 교양] 대한치과의사협회와 서울시치과의사회의 100년 역사 – 치과의료체계 발전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주연 / 세브란스치과)
[보험] 치과건강보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김수진 / 뉴욕BNS치과)
[교양 - 아름다운 퇴장을 위해 알아야 할 것들]
치과와 아름다운 이별 (김정욱 대표 / 케이덴)
2025년 상속세 이슈 및 절세방안 (윤태경 세무사 / 세무법인 정상)
[교양 - 노무] 알기 쉬운 노동법과 최신 인사노무 이슈 (김건우 노무사 / 노무법인 가을)
▶307호 (308호 중계)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 수면마취] Top-down Sedation- 대학병원의 안전과 개원가의 효율까지 (이승현 / 샘치과, 유승화 / 서울치대병원 치과마취과)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 교정] Orthodontic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
II급 부정교합의 양악발치 증례 (최성환 / 연세치대 치과교정과)
II급 부정교합의 편악발치 증례 (최진영 / 경희치대 치과교정과)
II급 부정교합의 비발치 증례 (장준규 / 서울바른이치과)
▶317호 (318호 중계)
[공동강연 – 치과보존과] Bioceramic Material(MTA 등)의 활용 - Vital Tooth부터 Canal Filling까지
바이오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생활 치수 치료 (김선일 / 연세치대 치과보존과)
바이오세라믹 실러를 이용한 근관 충전 (유기영 / 남상치과)
[디지털치의학] 3D printer의 다양한 임상활용 (김현동 / 서울스마트치과)
[디지털치의학]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허와 실 (박찬 / 전남치대 치과보철과)
[디지털치의학] 잘되는 치과의 예약 시스템 (강익제 / NY치과)
■ 6월1일(일)
▶컨퍼런스룸 E (영어동시통역)
[치과교정과] Possibility of Shape Memory Aligner - Next Generation Aligner Orthodontics (Dr. Kenji Ojima / Smile Innovation Orthodontics(Japan))
[치과교정과] Clear aligner의 오해와 실제 (최형주 / 서울바른치과교정과)
[치과보존과] 치과수복 - 접착이 해결책이다 (최경규 / 경희치대 치과보존과)
[공동강연 - 치과보존과] 인접면 요리사 – 직접 vs 간접
직접 요리사 - 레진수복 (김덕수 / 경희치대 치과보존과)
간접 요리사 - 인레이 (김선영 / 서울치대 치과보존과)
▶401호 (영어동시통역)
[공동강연 - 임플란트] 전지적 술자시점 : 같거나 혹은 다르거나 (창동욱 / 윈치과, 김용진 / 예스미르치과, Dr. Rokas Kuprys / PIC Clinic)
[공동강연 - 임플란트] Global implant dentistry - where we are & where we go
An EU Perspective (Prof. Marco Tallarico / University of Sassari, Dental School (Italy))
A US Perspective (Dr. Varo Boyer / Lecturer, UCLA School of Dentistry (USA))
A Korea Perspective (박창주 / 한양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치과보철과] 시간이 흐르며 달라지는 치료에 대한 생각 (주대원 / 가야치과병원)
▶402호
[치과보존과] 미세치근단수술과 재식술의 최신동향 : 장기적 성과와 임상적 의미 (김의성 / 연세치대 치과보존과)
[2024 김윤관상 수상자 강연] 치주조직 재생의 관점에서 치아이식과 재식 (나동규 / 이인치과)
[공동강연 - 소아치과] 소아치료 30년 하고 비로소 알게 된 것들
매복 상악 견치의 관리 (장기택 / 서울치대 소아치과)
소아치과 :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이재천 / CDC어린이치과)
[기타] 알고 싶지만 아직 결과가 확정되지 않은 술식들 살펴보기
PDRN 임상적용의 근거 찾기 (임현창 / 경희치대 치주과)
수중플라즈마 근관치료의 임상적 연구 (김영희 / 한림대성심병원 치과)
치과 수술 발전에 따른 진보된 뼈이식재료로의 패러다임 전환 (이노범 / 예인원치과병원)
▶300호
[교양]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 : 인격장애 유형과 대처법 (배재호 / 아이두정신건강의학과의원)
[교양] 반려동물 치과질환과 구강관리방법 (김수미 / 동물치과병원 케어덴)
[교양] 치과의사들을 위한 허리건강법 (김대하 / 서울아산다온재활의학과의원)
[공동강연 - 구강악안면외과] 중증 파노라마센터 : 찜찜한 방사선 병소, 실제로 보기 (안재명 / 삼성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권익재 / 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
▶307호(308호 중계)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 턱관절] 턱관절 진단을 부탁해: 턱관절 질환의 최신 진단 기준과 검사 방법 - 임상적 적용 (김영준 / 강릉원주치대 구강내과, 정진우 / 서울치대 구강내과)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 총의치] 총의치 ABCD - All of Complete Denture
Conventional & BPS and More (노관태 / 경희치대 치과보철과)
디지털 총의치의 이해 : 기본개념에서 임상까지 (이정진 / 전북치대 치과보철과)
Relining을 통해 배우는 총의치 유지관리 및 보험청구 (이소현 / 부산치대 치과보철과)
▶317호
[치과보철과] Short Clinical Crown의 장기 성공을 위한 메커니즘 이해하기 (이현종 / 연세치대 치과보철과)
[치과보철과] 보철물의 적합 무엇이 문제인가? (이희경 / 이희경덴탈아트치과)
[치주과] 치주 및 임플란트 치료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이재목 / 경북치대 치주과)
[Hands-on] 기초부터 시작하는 Flap & Suture (김성태 / 서울치대 치주과, 윤우혁 / 드림팩토리치과)
▶318호
[기초] 빅데이터 기반 치의학연구 (정지훈 / 서울치대 구강생리학과)
[통합치의학] PMH 때문에 Implant 수술을 멈추지 마세요 (정지은 / 연세치대 통합치의학과)
[포스터 시상] 포스터 심사 참여시, 소정의 경품 지급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