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임철중 칼럼

안 팔아 · 안 사 2 : 시각의 차이

[임철중의 거꾸로 보는 세상] - <227>

 

   가족을 식구(食口) 즉 ‘먹는 입’이라고 한다.  중국의 궈런(口人)보다 밥 식자가 더 솔직한 ‘먹여 살릴 입’이다.  조선조 후반 200여 년간은 농업 생산성이 조금도 향상되지 못하여, 농민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먹고 살기 어려웠다.  70년대까지도 농촌에서는, 입 하나를 줄이겠다고, 어린 딸을 부자 집에 수양딸로 보내곤 했다.
 말이 좋아 딸이지 굶기지나 말라고 떠맡긴 어린 식모였다.  수양모가 착하면 십여 년간 집안일에 부린 뒤, 혼수를 찔끔 얹어 짝을 지워주었다.  펠리니 감독의 영화 ‘길’을 보면, 이차대전 후 어려운 이태리 농촌에서, 부모가 돈 몇 푼에 두 딸을 차례로 잠파노에게 넘긴다.  1943년 일본군 5,000명 모집에 조선인 30만 명이 지원(志願)했고, 이승만은 승전국은 고사하고, ‘일본 지원국(支援國) 명단’에서 한국 이름을 빼는 데에 애를 먹었다.  국가 총동원령 하의 배급사회에서 군수공장 노동자를 빼고 일자리가 어디 있었을까.  일본 남자는 몽땅 전쟁터에 나간 노동현장에서, 열악한 전시체제하의 노동조건에 불구하고, 징용은 총알받이를 면하면서도 입에 풀칠할 탈출구였다.  파산한 패전국 기업들이 밀린 임금·퇴직금을 깔끔히 마무리 못했던  측면도 있다.  1차 대전의 교훈으로 전리품(배상금) 뜯기가 금지되어, 산업기반이 함께 붕괴된 전승국 사정도 패전국과 별로 다르지 않아, 생산구조에 손실 없이 피크에 오른 미국의 원조로 어렵게 회생하였다(마셜 플랜 등).

 

   일본 주장은 1965년 한·일이 합의한 한일청구권협정 제3조에 명시한대로, 해석과 실시에 관한 분쟁은 외교상 통로를...  해결 안 되면 제3국 중재 위를 설치하자는 것이다.  안되면 물건을 안 판다는 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우수고객대우’를 철회한다는 것이다.  그것을 경제‘보복’도 모자라 경제‘침략’이란다.  과격한 막말은 시원한 사이다요 선거용으로는 호재일지 모르나, 어른이 취할 짓은 아니다.
 하물며 유치하고 부적절한 ‘침략’비난은 ‘누워서 침 뱉기’요, 국제 사회에서 동정도 인정도 받지 못한다.  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더하여, 국가 간 ‘신뢰 악화 도발행위’에 또 하나의 증거물이 될 뿐이다.

 

   언론이 죽을 쑬 때마다 우후죽순 판치는 ‘SNS’의 화제를 보면, 고등법원장을 못 해본 대법원장, 고검장 안 거친 검찰총장, 사시나 외시(外試)를 못 본 법무나  통역사 외무장관 등 끝이 없다.  일자무식이 총리를 하든 말든 임명권자 맘이지만, 국민은 눈 뜬 채 3계급쯤 강등 당했다.  최저임금·소주성·52시간근무 하더니 금값·환율에 점심값까지 들먹여, 자영업·연금생활자는 앉은 자리에서 노상강도를 만났다.  원자력발전소와 4대강 보를 건드리니 다 된 국제 주문이 판판이 깨지고, 남의 나라 이름 바꿔 부르기·북한제재에 국제공조 이탈 등 외교 실패는 국제 고립을 불러, 국가원수 대접을 제대로 못 받아 군소국 관광명소나 찾아다니며 옆구리 찔러 절 받는다.
 이상 열거한 SNS 보도에는 ‘왜곡과 과장’이 섞였을지 모르나, 평소에 내색을 않던 일본이 드디어 발끈했다.  그러나 “너한테는 안 팔아!”도 아닌, “너 이제는 단골대우 안 해줄 테야!”가 ‘경제침략’이라는 주장에, 국제사회에서 누가 맞장구를 쳐줄까?  가식적인 목소리로 반일선동에 박수치는 대표선수는 역시 평양방송 리춘희인데, 저주의 쌍소리가 혹시 가짜 성대모사는 아닐까?  36년 식민지배 중에 징용·징병·위안부 사건은 전쟁 막바지 3, 4년간에 몰려있고, 백여 년 전 합병·식민의 역사를 현재 잣대로 재단하자니 마땅한 전례(典例)가 없으니까,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덮었다(合意 不可能).  파헤칠수록 얽히고 피차 치부만 드러나는 까닭에, 역사적 사실에는 ‘절충·타협·봉합’이 동원되는 것이다.

 

 

 

: 임철중 
전 대한치과의사협회 대의원총회의장 
임철중 치과의원 원장 

전 대전고등법원 민사조정위원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