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독후감] "불량 유전자는 왜 살아남았을까"를 읽고..

박광진<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3학년>

 

 사람의 몸은 명사일까 동사일까? 혹은 나의 몸은 내 것일까, 아니면 내가 나의 몸일까? 불량 유전자가 왜 살아남았는지를 묻고 있는 이 책은 태어남과 늙어감, 질병과 고통, 뇌와 마음, 유전과 진화 그리고 몸과 사회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물론 불량 유전자가 아닌 인간의 몸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을 대중에게 알리고 이를 통해 생명과 스스로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데 있어 보인다.

 초반부에서는 과거 과학이 발전하지 않았던 시절 생명을 농경으로 생각하고 땅속에 무언가를 묻어 생명을 만들려 했던 사건이나 출산 시 위생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산모들을 희생시키던 사건을 보여준다. 정력제 사용이나 노화에 대한 예시를 통해 생명의 생존과 번식에 대한 욕망과 노화에 대한 두려움을 보여준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미생물학의 발전과 세균과 인간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고통과 마음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몸과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모더니즘의 세계에서는 몸은 내가 아니라 내가 몸을 소유하고 있다는 개념을 통해 세상을 이해했으며 내 몸을 하나의 기계처럼 대하였다. 이런 개념을 가진 세계에서는 마음이 몸과 따로 존재하며 내 몸의 어디엔가 마음이 존재하는 부위를 찾으려 했고, 심장 혹은 뇌 등을 그 곳으로 생각했다.

여전히 이런 세계관은 세상을 지배하고 있으며 우리는 기계적인 생각으로 몸을 고치고 있지만 플레세보 효과나 노세보 효과 혹은 환상통의 존재는 마음과 몸이 연결되어 있고 따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불량유전자는 아마도 엑손과 엑손 사이에 존재하는 인트론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아직 인트론의 역할에 대해서는 많은 가설만 존재할 뿐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이들의 역할이 인류진화의 역사를 풀어나가는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그리고 유전자는 어떤 인간의 표현형을 결정하지만 인간을 이루는 것은 그 표면만이 아닌 마음속 깊은 곳의 내면과 그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요인이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불량유전자가 아직까지 살아남았다고 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 넘어가면서 몸과 나에 대한 개념은 바뀌고 있다. 내가 몸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몸 그 자체가 나라는 방식으로 말이다.

책의 마지막 장에서 고대 철학자 에피쿠로스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우리가 존재할 때는 죽음이 존재하지 않고, 죽음이 존재할 때는 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나의 존재와 몸의 존재는 하나이다. “죽음은 생물학적 필연이고 삶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이야기이며 특별할 것도 없는 일상이다.” 라는 문장이 가슴에 남는다.

 

 

 

박광진

대학 대학원 졸업 후 회사까지 다니다가
늦은 나이에 새로운 꿈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하여
열심히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치의학도이다.

'누구보다 친절한 동네 치과의사'가 되고 싶은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 이 원고는 부산대 치전원 정태성 교수가 3학년 소아치과학II 강의에서 과제물로 받은 독후감 중 표절검사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뽑은 우수독후감 입니다. 좋은 작품을 추천해주신 정태성 교수께 감사드립니다. <편집자 주>